본 논문의 목적은 먼저 19세기 (20세기 전반기까지 서해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던) 선인들이 올리던 선상 의례의 사회문화적 특질과 정치경제적 조건 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나아가 어민 의례에 사용되는 상징물을 검토하고 당대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이 상징 물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면서 동시에 계층적으로 전유해 가는 방식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1895년 오횡묵이 서울 마포에서 전남 지도까지 향해하며 기록한 일기 속의 선인의 의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흔히 조직되지 않는 민간신앙이 나 지역 내 ‘소전통’ 수준에서 다루어져 왔던 선인들의 의례와 상징이 조선 후기의 행 정 군사 지역 설화 등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총체적인 문화현상이었음을 보인다. 이어서 본 논문은 각종 민속 보고서와 유물자료 들을 검토해, 선인의 의례에 사용되던 의례기의 상징적 의미들이 지배승과 피지배승을 매개하면서 전유되던 방식을 검토한다. 먼저 선인들이 사용하는 의례기 중 가장 높은 신격을 표상하는 상자기가 지배층인 국가와 피지배층인 선인들에 의해 각기 전유되는 빙식을 살펴본다. 나아가 선인들이 사용하던 여러 의례기를 분석해 선인들의 세계관이 중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보여 줄 것이다. 상자기 외에도 조선 후기 공간 관념을 표상하는 오색기의 상징적 의미를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본 논문의 끝에서는 상징물의 변화 과정을 추적해 근대기 세계관의 변형과 그 의미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이다.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fishermen``s shipboard rites in the 19th century, which have been widely observed continuing until the present.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mbols which have been used in fishers`` rites, and to clarify how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ppropriates the symbols in particular ways, while at the same tim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the symbols.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he sailors`` rites that Oh Hoeng Muk (1834-1906) described in his diary while sailing from Seoul 10 Jeonnam Ji-do in 1895. This analysis reveals the sailors`` rites, which have been treated as ``local traditions" or folk beliefs, were culturally holistic phenomena intermingled with the administrative, military, and local mythological beliefs prevalen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rticle continues by examining the various documents of folkloric research, and demonstrates how the symbolic meaning of the ‘above’ flag [上字旗] among several ritual flags were appropriated by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symbolic structure and meaning of several ritual flags were representative of the sailors`` universe which was multi-concentri-cally constructed. In additi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ive-colored flags were also appropriated by each of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ive-colored flags represents the universal spatial cognition encompassing all classes including fishers, officers, and royal courts in the ancient times. Finally, by tracing the changes of symbols, this study explains the transformation of the symbolic structure and its meaning during the moder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