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Threat to Elderly Group Scale(PTES)
김지연 ( Ji Yeon Kim ) , 민경환 ( Kyung Hwan Min ) , 김민희 ( Min Hee Kim )
UCI I410-ECN-0102-2015-100-00231917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장년 세대가 노인세대가 위협적이라고 인식하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노인차별 연구에서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노인에 대한 인식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러나 청장년 세대와 노인세대의 관계적 측면을 고려한 노인세대에 대한 인식에 관한 관심은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tephan 등(2009)의 집단 간 위협 이론을 근거로 집단관계를 고려했을 때 청장년 세대는 노인세대로부터 실질적 위협 인식과 상징적 위협 인식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척도에 포함될 적절한 문항을 선별하기 위하여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남녀 303명으로 구성된 표본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남녀 171명으로 구성된 표본B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이 정치적 위협 인식, 가치관 위협 인식, 경제적 위협 인식의 3요인 구조임을 확인하고 총 9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완성하였다. 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 척도가 상이한 연령 집단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대 집단과 30대부터 50대까지의 집단의 두 집단을 대상으로 다집단 동등성 검사를 실시했는데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이 모두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척도의 전체 및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를 확인하였는데 적절한 수준이었다. 또한 타당도 및 사회적 바람직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위하여 표본A와 표본B 중 20대 참여자를 대상으로 관련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노인차별주의를 종속변수로 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사회적 바람직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은 관련 변인과 적절한 수준의 상관을 보이고, 다른 변인을 통제하고도 노인차별주의 변량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 사회적 바람직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reports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ceived Threat to Elderly Group Scale(PTES), a measure of the perceived threat to the elderly group for young and middle-aged adults. Based on Stephan``s intergroup threat theory, this study assumed that young and middle-aged people would perceive a realistic threat and a symbolic threat to elderly group. To fill the need for a measure of young and middle-aged adults`` perceived threat to the elderly group, we developed PT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wo samples. Analyses identified a model with three factors: perceived political threat, perceived value threat, and perceived economic threat. Multi-group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PTES could be use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Internal consistency for PTES subscale scores were good. Testing the association between PTES and the related constructs demonstrated that the PTES has good concurrent and incremental validity, and is almost unaffected by social desir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PTES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that measure the extent which to young and middle-aged adults`` perceived threat to elderly grou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