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의 기후변화가 국내 목재부후위험지수(Scheffer Index)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 58개 장소에서 40년(1973∼2012) 동안 축적된 기후자료를 활용하여 목재부후위험지수를 계산하였으며 기후 변화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10년 간격으로 목재부후위험지수를 계산하였다. 제주도를 제외한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목재부후지수는 35에서 65 사이로 목재부후위험이 중간 정도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최근 10년(2003∼2012)의 경우 목재부후위험이 높은 곳(≥ 65)으로 구분할 수 있는 지역이 지난 30년(1973∼2012)에 비하여 상당히 많아졌으며 전반적으로 목재부후위험지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국내 기후가 아열대성 기후와 비슷하게 변하는 과정에서 목재부후와 밀접하게 관련된 기후인자인 온도, 강우량 및 강우일수 등이 증가한 것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ent climate changes on wood decay hazard index(Scheffer index) in Korea. The index was determined using a climate data of 58 different locations obtained from the websit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wood decay hazard index was determined at the intervals of 10 years. Most of regions in Korea except Juju island showed wood decay hazard index values between 35 and65, considered to be moderate decay hazard zones. But in recent 10 years (2003∼2012), the wood decay hazard index was rapidly increased, resulting in showing many high decay hazard regions. The trend may be explained by the in crease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recent climate change of Korea turning into the weather of subtropical region may explain the increase of wood decay hazard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