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외상은 외상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지만 PTSD와 같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차적외상 스트레스 증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사건에 의해 특히 최근 발생한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1)청소년들이 경험한 심리적 반응을 살펴보고 (2)이전외상경험 수준에 따른 간접외상 수준의 차이 (3)간접외 상경험 수준에 따른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의 차이 (4)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이차적외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며, 세월호사고와 직접 관련된 지인이 없는 중,고등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관련변인을 측정하여 일원분석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월호 사건으로 연구대상 청소년의 57.5%가 간접외상 완전PTSD집단에 속하였고, 슬픔과 분노 감정을 가장 높게 경험하였다. 이전외상경험 수준에 따라 간접외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접외상 진단집단에 따라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대처양식에도 역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외상경험, 스트레스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간접외상의 15.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양식 중 회피중심 대처양식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사건에 의한 간접외상의 중요성 인식과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제시함으로써 간접외상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함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1) examine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adolescence by social traumatic events, especially Sewol Ferry Disaster, (2) identify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according to the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level, (3)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4) the impact of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to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3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who do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to Sewol Ferry Disaster of Gyeonggi-do Province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57.5% of students in case study included in the indirect trauma completely PTSD group. They experience feelings of sadness and anger most highly. According to the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leve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gree of indirect trauma. There were also differences found in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indirect trauma diagnosis groups. Previous traumatic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explained 15.7% of indirect trauma show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avoidance coping strategy is highest. By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rauma awareness and social events through this research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direct trauma, and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