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GIS기법을 이용한 중소하천의 어류종다양성 예측기법 연구
Estimation of Fish Species Diversity of Small and Medium Rivers of Korea with Fish Species-Habitat Relationship Models of GAP
박종화 ( Chong Hwa Park ) , 홍성학 ( Sung Hak Hong )
한국GIS학회지 6권 1호 91-102(12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015053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하천의 어류 종다양성 예측을 위한 모형의 개발 및 정확성 검증을 하는 것이다. 본 예측 모형은 미국의 GAP의 일환으로서 뉴욕주 어류야생동물연구팀이 개발한 어류종다양성 예측 모형을 기초로 하였으며, 하천의 크기, 물리적서식지, 및 수질의 세가지 서식지 요인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 서는 미국 EPA 수질환경기준과 우리나라 수질기준을 적용하여 2개의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 대 상지는 한강 수계의 탄천, 사기막천, 수동천, 및 조종천올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I 본 연구대상지 총 118개 하천구간은 예측모형1 과 예측모형2에 의하여 각각 9개와 14개의 서식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멸종위기종인 퉁가리, 회귀종 인 배가사리 및 쉬리의 분포예측도를 작성하고I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예측모형 1과 2는 각각 80.6% 및 81.2%로 판명되었다. 셋째, 예측모형 I 과 II를 이용한 종풍부도 예측결과는 각각 94% 및 95%를 보였으며, 수질이 어류 종풍부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예측모형 1 및 2의 각 하천구간 출현종의 정확도는 각각 50.5% 및 68.7%로서 낮은 편이었으며I 수질오염이 심한 하천을 제외한 정확도는 각각 67.1% 및 86.5%로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수질기준을 적용한 예측모형 2의 정확도가 높으며, 이 들 예측모형의 정확도는 수질향상 및 자연형 하천복원에 의하여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0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fish-habitat relationship models which can be used to estimate fish species richness of small and medium rivers in Korea, and test the accuracy of the models. The models are based on the Aquatic GAP Analysis model in the New York Cooperative Fish & Wildlife Research Unit (19%), and they employ three habitat factors; river size, physical habitat, and water quality of each river segment. Model 1 and model 2 are based on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life support of EP A and the water quality class of Korea, respectively. Test sites for this study include one urban stream and three less spoiled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habitat types identified by model 1 and model 2 are nine and 14, respectively. Second, the average accuracy of the three distribution maps of rare or endangered fish species are 80.6% (model 1) and 81.2% (model II). Third, the accuracy of fish species richness are 94% (model 1) and 95% (model 2), and the water qua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fish species richness. Fourth, the accuracy of fish species list are 50.5% (model 1) and 68.7% (model 2), but the al때racy of fish spoiled stream segments and that of polluted stream segments are 67.1% and 86.5%, respectively.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verall performance of model II is better than that of model I at our test si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