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소진은 확생접촉 회피. 업무소롤, 직장이탈 등의 역기능적 측면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소진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부촉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소질의 기존연구들을 리뷰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사소진의 원인에는 A형 성격유형,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역할관련요인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연구되었다. 교사소진의 영향으로는 교사의 직무에 대한 열의, 학생의 학교적응, 학교의 교육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소진의 발생모델은 직무요구-통제 모델과 직무요구-자원모델이 주로 언급되었으며 교사소진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들을 개관하였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MBI척도는 타당도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새로운 교사소진척도의 개발, 교사소진 연구의 이론적 보형 구축, 교사소진 감소 요인에 관한 연구 학생에게 미치는 교사소진 영향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a lack of overall research on teacher burnout. even though it is a crucial factor which causes dysfunctional aspects such as avoidance of contact with students, negligence of duty and desertion of du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and to propose directivity for future research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on teacher burnout. As causes for teacher burnout, individual factors like type A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and environmental factors like role-related factor and job stress factor were investigated. Also, teacher burnout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teacher``s enthusiasm for job,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and school``s education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process of teacher burnout, job demand-control model and job demand-resource model were mainly mentioned, and out of the scales developed for evaluating teacher burnout, MBI scale which is used the most, had a lot of limitations including the problem of valid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new teacher burnout scale, constructing a theoretical model for teacher burnout research and conducting studies on factors for reduction of teacher burnout and on the effect of teacher burnout on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