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 분석: 이해관계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erformance Factors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Governance Perspective
강병준 ( Byoung Jun Kang )
공간과 사회 49권 5-46(42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6924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사회적 경제조직이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 기업이 상호작용하는 거버넌스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기 위해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실증분석 결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부 부문의 법적 지원, 시민사회 부문의 신뢰와 착한 소비, 기업 부문의 기업윤리와 협력·네트워크, 그리고 조직관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의 정책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정부 부문에서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인증제도와 법률을 통합화하여 법적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시민사회 부문에서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신뢰 제고와 착한 소비 확산을 위해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활용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정부 민간위탁 사업 참여가 필요하다. 셋째, 기업 부문에서는 기업윤리 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고, 일반 기업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사회적 경제조직의 조직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조직관리가 필요하다.

Building Governance, the interaction among civil society, government and enterprise, is strongly required to activ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is research approached from the governance view in order to find out for the performance factor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factor having an effect on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social company is as follows. The legal support of the government section, civil society section trust and ethical consumption, and business ethics of the company section and cooperation·network and organization management reach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As follows,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direction of policy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First, in the government section, the legal support has to be tighten up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integration of law. Second, in the civil society section, the positive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organizations are expanded to the trust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diffusion of ethical consumption. Also Government procurement system utilization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re participated in the business of government contracting-out is needed. Third, in the company section, enhancing the business ethics 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operation·network strength of the general company and social enterprise, and the strategic organization management for organization capacity of the social company is requir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4. 실증분석
5.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