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후보
고든의 오디에이션 이론에 기초한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즉흥연주지도
Teaching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in Elementary Music Class
최미영 ( Mi Young Choi )
교사교육연구 53권 3호 430-446(1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86198

성공적인 즉흥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사고과정 속에서 조직화된 음악적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고든은 음악적 의미를 만들어내는 정신과정을 오디에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오디에이션이란 물리적으로 소리를 듣지 않고도 마음으로 음악을 재현해내는 능력이다. 오디에 이션을 통해 음악의 구조를 내재화하고 조직하는 능력은 성공적인 즉흥연주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의 오디에이션 이론에 기초한 단계적 즉흥연주활동과 예시 학습 지도안을 제안함으로써 초등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의 즉흥연주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그들의 음악적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예시 학습 지도안은 음악교사에게 평소 가르치는 관행 속에서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지식과 방법 뿐만 아니라 음악교사들이 이미 잘 하고 있는 것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설령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음악수업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하더라고 이를 적용한 음악수업에서 가르치는 기술과 내용을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 계발 및 이에 기초한 즉흥연주능력의 계발을 도울 수 있다. 제시한 즉흥연주활동과 예시 학습 지도안의 실제 적용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듣기 경험을 통해 오디에이션 하여 노래 불러본 후, 즉흥연주를 한다. 둘째, 정확한 모델링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의 듣는 귀와 역량이 중요하다. 셋째, 모델링, 오디에이트, 반 전체 즉흥연주, 개별 즉흥연주의 순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오디에이션의 충분한 계발을 위해 음악 기호에 대한 학습은 다소 지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오디에이션에 기초한 즉흥연주 학습 지도안의 연구와 개발이 광범위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즉흥연주 학습 지도안의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uccessful improvisation is dependent o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s among musical elements and the assimilation of the syntactic feature of the music. In order to be able to manipulate the structures of music into an organized, spontaneous, meaningful performance, students should create organized musical meaning in their thought process. Gordon coined the term “audiation” to describe the process of making musical meaning. Audiation is the ability to hear and to comprehend music for which the sound is not physically present, is no longer physically present, or may never have been physically present. Audiation is the ability to think musically. Although music is not a language, the process is the same for audiating and giving meaning to music as for thinking and giving meaning to language. The highly skilled audiators can recognize familiar music, identify unfamiliar parts on the basis of their relationship to familiar parts, and give meaning to the whole. They can also retain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sound over and over and draws on their understanding to improvise music. The more accurately students are able to audiate musical patterns, the better they can improvise music and eventually establish music understanding. For successful improvisation, it is vital to develop a larger vocabulary of musical patterns, and organize and restructure the patter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udents` audiation and improvisation abilities and enhance their musical understanding using Gordon`s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lesson plans in elementary music class. The sample lesson plans provide music teachers with knowledge and tools to develop students` audiation with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actice.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gives a powerful way to enhance the many things music teachers already do well. Although they do not directly apply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to their music class, they would be able to help the enhancement of students` audiation and improvisation ability by teaching the skills and contents students learn in music class applied to music learning theory. Some guidelines that help teachers apply the suggest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lesson plans to their music clas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ise meaningfully, students should spend enough time listening to a song and sing it while audiating, then improvise. Second, teachers have musical ear and competency so that they can provide accurate modeling and feedback. Third, it is desirable that the steps to improvisation should be modeling, audiating, whole class improvising, and individual improvising. Last, the introduction of music notation is somewhat delayed until stu- dents` executive audiation vocabulary of rhythm patterns and tonal patterns ar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elementary music lesson plans would be carried out in the further study.

I. 서언
II. 이론적 배경
III. 학습순차활동에서 오디에이션 계발을 위한 즉흥연주활동
IV. 오디에이션에 기초한 즉흥연주지도방안
V. 결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