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8
216.73.216.138
close menu
KCI 등재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마태오 리치의 적응주의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불,도(儒佛道)의 대화
Matteo Ricci`s Accommodationism as the Model of Interfaith Dialogue -Dialogue between Confucianism/Buddhism/Taoism and Christianity as Represented in Tianzhu Shiyi(The True Discourse of the Lord of Heaven)
김명희 ( Myong Hee Kim )
한국조직신학논총 39권 141-197(57pages)
UCI I410-ECN-0102-2015-200-000204590

본 논문은 16세기 중국의 선교사로 파송된 예수회 신부 마태오 리치가 적응주의 선교에서 보여준 그리스도교와 유·불·도(儒佛道)와의 대화를 분석해 종교 간 대화의 원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리치의 적응주의 선교는 그리스도교와 유교와의 대화를 통해 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사회와 문화 속에서 추진된 리치의 적응주의가 어떻게 종교 간 대화의 모델이 될 수 있는지 그의 저서 『천주실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천주실의』는 리치의 불교와 도교에 대한 반박글로서, 리치는 이책에서 그리스도교와 구별되는 두 종교의 신개념과 도덕론을 논박하였다. 동시에 유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화해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리치와 중국 선비와의 대화내용을 기록한 『천주실의』를 분석해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과 한계, 의의를 밝혔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21세기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종교간 대화의 원리를 전망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리치의 문화적응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적응주의는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토대가 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둘째,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의 대화를 해석학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서들이 그리스도교와 유교와의 대화 혹은 그리스도교의 전교서로서 『천주실의』를 조명하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유·불·도, 특히 불교에 대한 리치의 이성적 대화의 논거들을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의 존재론적·도덕적 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앞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과 한계를 제시한 후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가 한국의 종교간 대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하였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리치는 크게 두 방향에서 대화를 시도하였다.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와의 존재론적 대화와 도덕적 대화다. 존재론적 대화에서 리치는 공무론(空無論)을 내세우는 불교와 도교는 무신론(無神論)의 종교라고 논박하였고, 인격신으로서 상제(上帝)를 표방하는 (원시)유교에 대해서는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그리스도교와 유교의 유신론적 (有神論的) 신관에서 공유점을 찾은 리치는 이를 토대로 유학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중국의 상류층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전파하려고 하였다. 리치는 도덕론을 통한 대화에서도 실재적 존재론에 입각해 불교의 윤회설을 해석함으로써 불교 윤리의 모순을 비판하였다. 뿐만 아니라 리치는 종교혼합주의에 대해서도 제동을 걸었다. 그는 유·불·도 세 종교가 혼합되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 리치의 유·불·도 대화의 목적은 세 종교의 잘못된 교설(敎說)을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으로 바로잡는 데 있었다. 이것은 혼합의 의미에서가 아닌 그리스도교 중심의 포괄적 의미에서의 대화였다. 세 종교 혹은 네 종교의 도리를 동시에 믿는 것이 아닌, 하나의 올바른 도리를 찾아내 믿는 것이 중요하였다. 리치는 그 하나의 올바른 도리가 그리스도교라고 확신하였다. 그리스도교 중심의 포괄주의적 대화는 리치의 대화가 갖는 한계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6세기 당시 리치의 적응주의적 방법을 통한 보유론적(補儒論的) 대화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중세의 배타적 종교관에서 벗어나 타종교, 타문화와의 대화를 시도한 것은 이후 다종교·다문화 시대에 전개될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좋은 선례가 될 수 있었다. 비록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포괄주의적 대화였다고 하더라도 리치는 유교문화의 적응을 통해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조화와 화해를 모색하였고, 동서문명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바로 이점이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가 갖는 의의라고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alogue between Confucianism/ Buddhism/Taoism and Christianity spread by way of Accommodationism of Matteo Ricci. This approach adopted by the Jesuit priest who was sent to China in the 16th century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principles that can help define the interfaith dialogue. Ricci’s accommodationist approach was pursued via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is study explored how Ricci’s Accommodationism introduced to the Confucian society and culture came to be the model of interfaith discourse by looking at his book Tianzhu Shiyi(The True Discourse of the Lord of Heaven). Tianzhu Shiyi is Ricci’s refutation of Buddhism and Taoism. In this book, he argued against the concept of deity and morality of these two religions as opposed to those of Christianity while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ng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conversation between Ricci and a Chinese scholar in Tianzhu Shiyi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Ricci’s interfaith dialogue. Based on the analysis, the principles of the interfaith discourse - much needed in the twenty-first century South Korea - were reviewed. The first to be analyzed was Ricci’s cultural Accommodationism it was crucial as it was the founding stone of his interfaith exchange. Secondly, the hermeneutic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on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Buddhism/ Taoism as seen in Tianzhu Shiyi. While the existing studies shed light on Tianzhu Shiyi with a primary focus on the Christianity- Confucianism discourse or its evangelistic nature, this study examined Ricci’s rational basis for argument with regard to Confucianism/ Buddhism/Taoism, particularly to Buddhism, concentrating on the ontological and moralistic discours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Buddhism/Taoism. Thirdly, the aforementioned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icci’s interfaith dialogue and to find out how his Accommodationism could contribute to advancing the discourse.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icci attempted the discours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the ontological and moralistic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Buddhism/Taoism. In the ontologicaldialogue, Ricci refuted that Buddhism and Taoism - which assert the emptiness and nothing(空無論) of things - were the religion of the atheists. He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primitive) Confucianism that had Shangdi(上帝) as its supreme deity. Having found a common ground in the theist belief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Ricci sought to spread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to the upper class members of China, which were primarily comprised of Confucian scholars. Even in the moralistic discourse, Ricci interpreted the Buddhist belief of the cycle of life and death(samsara) based on the existential ontology to criticize the contradictory nature of Buddhist ethics. Furthermore, Ricci attempted to put a stop to religious syncretism. He warned against the fus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purpose of the interfaith dialogue that Ricci intended was to correct the fallacious teachings of the three religions with those of Christianity. This did not mean a fusion in its sense but inclusion that centered on Christianity. What was important to him was to find and believe in the one true way, not to believe in the three or four religions together simultaneously. Ricci was assured that that one true way was the way of Christianity. None other than this inclusive approach centered on Christianity was the limitation of Ricci’s discourse. Nonetheless, the discourse that ventured to ‘complement Confucianism’ based on Ricci’s accommodationist approach was one groundbreaking attempt. The escape from the exclusive and closed medieval view and the endeavor to initiate the inter-religious and inter-cultural conversation served as an excellent precedent for the interfaith dialogues that are to follow in the age of multi-religion and multiculture. Although limited by the discourse’s inclusive nature with a purpose of evangelizing the non-believers, Ricci aimed to reconcile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based on the accommodationist approach to the Confucian culture, thereby bridging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This is precisely why Ricci’s Accommodationism holds considerable significance today.

I. 들어가는 말
II. 리치의 문화 적응주의
III.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ㆍ불ㆍ도의 대화
IV.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적 대화의 특징과 한계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