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강호가사에 투영된 생태적 사유와 상상력
A Study on Ecological Thoughts and Imaginations in Gang-Ho Gasa
박영주 ( Young Ju Park )
UCI I410-ECN-0102-2015-800-000223537

본고는 강호가사로 통칭되는 자연예찬의 시풍을 구현한 가사 작품에 투영된 생태적 사유와 상상력의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우리 선조들의 사유와 삶의 방식에 깃든 지혜로부터 오늘의 녹색지향적 문화와 생태문학에 전망적 시각을 제시하면서, 우리 고전시가의 의의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강호가사를 위시하여 자연예찬의 시풍을 구현한 문학작품 속에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어 나가는 삶과 가치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삶과 가치의식은 우주 만물을 ‘서로 화합하는 유기적 총체’로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서, 그 바탕에는 우주 만물은 순환하고 변화하면서도 일정한 질서나 이치가 있어서 서로가 서로를 있게 하고 도우면서 스스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한다는 ‘대대적’ 사유, 나아가 ‘자연의 지배자가 아닌 대표자’로서의 인간이 자연의 생명성과 리듬에 합일함으로써 ‘물아일체’라는 이상적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지향의식이 짙게 깔려 있다. 강호가사에서는 이러한 ‘물아일체’의 경지이자 정서가 대상과의 ‘대대적’ 관계맺기를 통해 크게 세 갈래 양상으로 형상화된다. ‘생생불식’하는 자연의 이법과 질서를 성찰하여 자연의 생명성과 조화를 묘사.형용하는 양상으로 술회되기도 하고, 대상과의 교감을 통해 ‘대대공존’의 관계를 일상생활 속에서 자각.체현하는 모습으로 표출되기도 하며, 자연의 경물이 자아내는 흥취에 몰입.동화되어 자연의 생명성과 리듬에 감응함으로써 ‘천인합일’의 삶을 지향하는 태도로 형상되는 것이 그것이다. 강호가사 작품 속에 투영된 이와 같은 사유와 상상력은 자연의 생태적 질서와 원리에 바탕을 둔 삶의 태도 및 현실성을 담보한 실천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사유와 상상력은 오늘의 녹색지향적 문화와 생태문학에 다채롭고 풍부한 이미지와 상상력을 제공하면서, 정서적 국면에서도 새로운 감각과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e lyrics works(Gang-Ho Gasa) for songs about nature, the life of humans in which nature and humans form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value consciousness are projected. This paper considered the ecological thoughts and imaginations contained in these lyrics works. The issue of ecology is a universal issue in our lives, which is not limited to a certain period of time. In Gang-Ho Gasa, humans have the status of ‘representatives of nature not rulers’. The lyrics contain humans`` consciousness aiming at reaching the ideal state of ``the oneness of objects and I`` by being united with the liveliness and order of nature. From these works that contain such ecological thoughts and aiming consciousness, we can newly consolidate our sensations and perception of nature and ecology. Furthermore, we can also prepare the prospective view that must be expanded by the ecological view or ecological poetry of today. This paper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modern meanings of classics from a new viewpoints.

1. 논의의 목적과 방향
2. 조선조 사대부의 자연인식과 생태의식
3. 강호가사에 투영된 생태적 상상력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