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를 개발하고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24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초등학생 148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의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α=.794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사지의 24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검사지의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검사지 24문항에 대한 문항난이도는 .200에서부터 .88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문항난이도는 .54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보이므로, 초등학생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Spatial ability has been valued as one component of intelligence and as an talented domain. And it is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disciplines. So,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spatial ability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atial Visualization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vidence and construct validity evidence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at instrument. For this purpose, `The Spatial Visualization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administered to 1482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show tha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vidence using Cronbach` alpha showed item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evidence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the Spatial Visualization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lso, this study show ed that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of the Spatial Visualization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within an acceptable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