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연구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0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청소년 음주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CMA 2.0을 활용하여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들과 각 요인들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았고, 연구대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82개 논문에서 음주유무 관련요인은 20개, 음주빈도 관련요인은 15개, 음주량 관련요인은 14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인구사회학적, 개인, 가족, 친구, 학교, 대중매체 요인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청소년 음주 요인에 관한 연구가 개인을 포함한 미시체계 중심으로 연구되어온 반면에 대중매체, 지역사회 환경과 같은 거시체계에 대한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셋째, 각 음주행위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큰 요인을 살펴보면 음주유무의 경우 긍정적 음주태도, 음주빈도의 경우 음주친구수, 음주량의 경우 친구 음주빈도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을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음주·약물 지식 및 가정 경제수준에 따라 음주유무에 대한 효과크기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체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 청소년 음주 예방 정책 및 실천적 접근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in alcohol-related research, with a particular focus on adolescent alcohol use and its related variables. For the meta-analysis in this study, research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2 were included. Using CMA 2.0, this study calculated the mean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also explored the moderator variab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om a total of 82 articles, 20 variables were related with the use/non-use of alcohol, 15 variables with the drinking frequency, and 14 variables with the drinking quantity. Second, most studies on adolescent alcohol use focused on the micro system instead of the macro system, such as mass media and community environment. Third, with regard to each category, positive attitude regarding alcohol use showed a relatively higher effect size on the use/non-use of alcohol, the number of drinking friends showed a relatively higher effect size on the drinking frequency, and the drinking frequency of friends showed a relatively higher effect size on the drinking quantity. Fourth, modera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ubgroup analyses. Moderate effects with regard to the use/non-use of alcohol were identified in the knowledge regarding alcohol or substance as well as in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