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후보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st Play Therapists
문혜준 ( Hye Joon Moon ) , 진미경 ( Mi Kyoung Jin )
UCI I410-ECN-0102-2015-100-000237350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아동상담소(센터) 등에서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6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놀이치료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 소망적 사고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 중심 대처와 정서 중심 대처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가 치료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소진을 효과적으로 다루고 대처하는 능력을 키우며, 상담의 효율성과 질을 높이고 성장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st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comprised 167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area of play therapy in Seoul and Gyunggi-do.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and Child counselors’ Burn-out Scale were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SAS 8.2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play therapists significantly affects burnout. Second, the sub factors of play therapists’ coping styles problem-focused, emotion-focused, and hope focused stress, significantly affects burnout. Lastly,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stresses turn out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st the play therapists.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and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amongst play therapists. By adjusting stress coping styles, play therapists can manage burn out more effectively, and improve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counseling services they provid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해석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