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후보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 경험 분석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T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in Terms of Their of Awarenes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한영신 ( Young Shin Han ) , 박현숙 ( Hyun Sook Park ) , 김광웅 ( Kwang Woong Kim )
UCI I410-ECN-0102-2015-100-000237345

본 연구는 놀이치료사를 대상으로 놀이치료에 의 알아차림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과 생각을 알아 보고자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놀이치료학회에서 인정하는놀이치료 자격증 소지자이며 10년 이상의 놀이치료 임상경력을 가진 연구 참여자 10명을 선정하여 비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한 후 이들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으로 분석하여 10개의 중심영역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실 안에서의 알아차림 경험 요인은 치료자에 대한 알아차림과 내담아동에 대한 알아차림의 2가지로 분석되었다. 둘째, 알아차림이 놀이치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부정적인 영향·영향 없음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셋째, 알아차림을 방해하는 요인은 치료자요인·내담 아동 요인·외적요인의 범주로 나타났다. 넷째, 알아차림 능력을 키우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전문적 방법·일반적 방법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의 알아차림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에 대한 생생한 보고를 통해,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들과 알아차림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여 놀이치료자의 발달 및 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pecific situations and concerns related to play therapists`` awareness in a play therapy room. Non-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0 participants who held certification as a play therapist recognized by the Korea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and who also had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ool. The results revealed 10 themes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awarenes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awareness in the play therapy room revealed two dominant themes: awareness related to the therapist and awareness related to children. Second, the impact of the awareness in the course of play therapy was divided into three other themes: positive impact, negative impact, and no impact. Third, factors disturbing the awareness involved three themes: therapy factors, client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Finally, two themes arose from efforts aimed at improving skills regarding awareness: a technical method and personal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the play therapist and strategies to improve skills related to awareness. This present study provides a plethoraof valuable data to improve the training of therapists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ir skill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해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