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기반치료는 치료의 구성요소에 대해 명시하고 과학적 연구에 의해 지지된 치료적 접근을 일컫는다. 근거기반치료는 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 치료자의 전문성, 내담자의 가치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근거기반실천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근거기반치료는 아동과 청소년이 받게 될 치료의 질 보장, 내담자의 복지를 최상으로 고려하는 윤리적 측면에 대한 제고,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에 대한 사회적 기대 충족,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이를 이용하는 비율간의 격차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많은 아동청소년 치료자들과 연구자들은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구성요소를 알지 못하고 이를 임상현장이나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아동상담자의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 근거기반치료에 기반을 둔 치료와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근거기반치료와 근거기반실천의 정의와 구성요소, 특정장애에 효과성이 입증된 근거기반치료들, 근거기반치료의 맥락에서 바라본 놀이치료의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근거기반치료를 둘러싼 일반적인 비판들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노력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의 근거기반치료 관련 연구와 치료의 향후방향이 제시되었다.
Evidence-based treatments(EBT) specify the ingredients of the treatment and have been supported by scientific research. EBT can be adapted in the context of evidence-based practice(EBP) which is the synthesis of empirical evidence, clinical expertise, and patient values in the implementation of treatments. EBT is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treatments. The importance of EBT is related to certain ethical concerns, meeting society s expectations about the scientific support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nd reducing the disparity between mental health needs and services. Nevertheless, many therapists and researchers in Korea are not aware of the clear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BT and the importance of utilizing EBT in their practice and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EBT an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and EBT treatments.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BP and EBT options for specific disorders were introduced. Also, the effectiveness of play therapy in the context of EBT and common criticisms of EBT and subsequent changes were discussed.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of EBT studies and treatments in Korea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