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의 자살생각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아동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실시한 종단자료(초4 패널)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애착과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교차지연 자기회귀 모형(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을 활용한 구조 방정식 모형의 2단계적 접근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은 아동의 자살생각에 종단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직접 효과를 주었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 모두 애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매개하였다. 부모와의 애착 수준이 높은 아동 일수록 높은 자아존중감 수준을 보였고, 동시에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아동 일수록 자살생각을 덜 하였다. 또한 부모와의 애착 수준이 낮은 아동 일수록 더 많은 우울감을 경험하였고, 이렇게 높은 수준의 우울을 나타내는 아동 일수록 더 높은 자살생각 수준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을 포함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개입전략에 대한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nd suicidal ideation was mediated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during childhood. To test the hypothesis,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s were applied to the data which were the part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i.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pecifically, the data in use were consisted of 2,844 early adolescents`` responses to the scales measuring four variables of interest for three times at every year.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s of parent-child attachment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Moreover, self-esteem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icidal idea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e.g.,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preventive program regarding suicidal ide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