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가출경험 청소년들의 가정복귀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가정으로 복귀한 청소년과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요인, 가정환경요인, 학교요인을 집단별로 비교하고 이들 요인들이 중.고등학교 가출경험 청소년들의 가정복귀여부를 예측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42개소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 227명과 12개 중.고등학교 2,3학년 학생중 가출경험이 있으나 가정으로 복귀한 청소년 211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정복귀여부와 학교급을 기준으로 이원변량분석과 χ2검정을 통해 집단 간 비교를 하였고, 가정복귀여부를 예측하는 정도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정복귀여부에 따라서는 공격성, 가족구조,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중 부모의 애정, 방임, 아버지의 학대와 또래관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고 학교급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에서 차이를 보였다. 가정복귀여부에 대한 예측력에서는 전반적으로 가정환경요인의 예측력이 가장 컸는데 이중 결손가정은 가정복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가정경제수준은 가정복귀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의한 가정복귀여부에 대한 예측력의 차이는 중학교 청소년들의 경우 아버지의 애정과 방임, 어머니의 방임과 같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변인인 반면에 고등학교 가출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공격성과 충동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unaway adolescent’ intention to return home. A total of 438 runaway adolescents from 42 shelters and 12 high school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Among them, 211 participants had returned home and 227 participants remained in shel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vered individual factors, home environment, and school factor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hi-square (χ2)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The two-way ANOVA and χ2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turnees and shelter adolescents in terms of aggression, family structure, economic status, some parenting attitudes (father’s and mother’s affection, negligence, father’s abuse), and peer relationships. We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runaway adolescents in relation to self-esteem.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factor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runaway adolescents’ returning home. In particular, broken homes had the strongest negative effect, while economic status had positive effect. Whereas for junior high school returnees, parenting attitudes, such as father’s affection, negligence, and mother’s neglig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enior highschool returnees individual factors like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were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