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경제적 지위 변인, 이민자에 대한 우호적 인지와 국민정체성, 지배계급의식과 인지된 위협이 이주자에 대한 잠재적 범죄자 인식과 차별적 처벌인식, 그리고 불법체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0년 실시된 외국인 및 외국인 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할수록, 강한 국민정체성을 가질수록, 지배계급의식이 강할수록, 그리고 인지된 위협이 클수록외국인 이주자에 대해서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차별적인 처벌에 대해서는 독립변인들을 모두 통제하였을 경우 국민정체성과 지배계급의식만이 독립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불법체류자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인지된 위협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상징적 폭력, 이주자에 대한 이중적 처벌, 그리고 지배와 피지배의 계급적 차이에 초점을 두고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individual``s economic status variables, attitudes to foreign migrants,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class consciousness, and perceived threat of foreign migrants on the perception of foreign migrants as inherently delinquent, perception of punishment of immigrant criminals and attitudes to illegal immigrants.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ample survey "The Perception of Foreigner and Policy" conducted in 2010.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economic status, positive attitudes to foreign migrants,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class consciousness, and perceived threa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perception of foreign migrants as inherently delinquent. Controlling for other independent variables, just two independent variables,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class consciousness, significantly affect perception of punishment of immigrant criminals. Particularly, perceived threa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ttitudes to illegal immigrants and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when other variables are added to equation.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ocusing on symbolic violence, double punish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dominant and subordinat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