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지각된 사이버 보안 위험이 개인정보보호 증진을 위한 기술채택 및 지속이용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여도, 보호동기, 비용지불의사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to Cyber Security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Technology Acceptance and Sustainable Use for Promoting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focusing on Involvement, Protec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to
우형진 ( Hyung Jin Woo )
언론과학연구 14권 2호 220-257(38pages)
UCI I410-ECN-0102-2015-000-000265615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보안 위험에 대한 개인의 관여도, 보호동기, 그리고 비용지불의사가 개인정보보호 증진을 위한 기술채택 및 지속이용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것이다. 대학생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관여도, 보호동기 가운데 인지된 심각성, 반응효능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이버 보안 위험 해결을 위한 비용지불의사가 개인정보보호 증진을 위한 기술채택 및 지속이용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이버 보안 위험에 대한 인지된 취약성은 개인정보보호 증진을 위한 기술채택 및 지속이용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선행연구결과, 우리나라 IT이용자들의 약 90%는 사이버 보안 위험 해결을 위해 무료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이버 보안 위험에 대한 관여도, 보호동기 그리고 비용지불의사가 우리나라 IT이용자들의 사이버 보안 위험 해결 특성, 즉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를 보유하나 무료 소프트웨어를 채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독립변인들 가운데 인지된 취약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를 보유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 비용을 지불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인지된 심각성과 비용지불의사가 낮을수록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 비용을 지불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volvement, protec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to payment on the perceived risk of cyber security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o technology acceptance and sustainable use for promoting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71 college student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involvement, perceived severity, response efficacy, self efficacy and intention to payment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technology acceptance and sustainable use for promoting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The perceived vulnerability, however, did not affect the dependant variabl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 ies, about 90% of IT users in Korea have used free security softwares in order to solve cyber security problems.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of Korean IT users, this study tries to find significant variables on expecting the possibility of the security softwares acceptance without payment. The findings shows that the perceived vulnerability and self efficacy affect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security software while the perceived severity and intention to payment have an influence on the possibility of intention not to payment.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