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7.107.68
18.217.107.68
close menu
KCI 등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ypes in Upcycling Bag Design
왕경희 ( Kyung Hee Wang )
UCI I410-ECN-0102-2015-600-00027947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자원을 보존하고 절약하기 위해 폐기된 제품의 소재를 가공하고 해체하여 다시 사용하는 재활용 제품개발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제작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업사이클링 제품을 좀 더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에 사용된 소재의 유형별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소재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브랜드 10곳과 국외 브랜드 46곳의 유형별 소재를 분류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선정은 전시와 다큐멘터리, 서적, 웹사이트를 조사, 검색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업사이클링 디자인 개념과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발생, 국내외 현황을 조사하였고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는 환경부 폐기물 분류기준을 참조하여 폐섬유류, 폐비닐류, 폐가죽류, 폐종이류, 폐타이어류로 분류하여 브랜드 사례를 조사하였다. 셋째, 사례를 종합하여 소재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업사이클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은 첫째, 폐섬유류로 주로 많이 제작되며 트럭 덮개, 현수막, 광고판, 자투리 천, 옷, 군복, 담요, 텐트, 낙하산, 소방호스, 안전벨트, 차 시트, 비행기좌석, 커피자루가 사용되고 있다. 둘째, 폐비닐류의 포장용 비닐과 비닐봉지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폐가죽류의 헌 가죽옷과 가죽신발을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가죽, 벨트, 차 시트, 폐가구, 체조기구를 활용하고 있다. 넷째, 폐종이류는 잡지와 카탈로그, 신문에 비닐코팅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폐타이어류는 타이어 안쪽의 이너튜브와 특별히 가죽 같은 광택의 고품질 원단을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 위의 소재유형으로 특성을 도출해 본 결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은 첫째, 여러 소재의 혼합사용 둘째,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공예기법의 활용 셋째, 재료 공급의 한계로 인한 희소성 넷째, 폐기된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내구성이 있다. 이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향을 모색해 보면 첫째, 업사이클링 가방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 많은 시도와 실험으로 소재의 다양화에 힘써야 한다. 둘째, 새로운 수공예적인 기법을 발굴하여 소재를 고급화해야 한다. 셋째, 개인의 고유한 감성을 담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여 희소성 있는 차별적 가치의 제품을 창출해야 한다. 넷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이와 같은 활성화 방향은 아직 사회적 관심과 산업적인 기반이 미약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시장의 제품수준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Korea, a resource poor country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products reusing waste materials through processing and disassembly to preserve and save resource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develop upcycling things that are made into high value-added products and create new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ases by material types in the upcycling bag design, to deduce the attribute of materials. and then to suggest revitalization plans of the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The scope of this research included the classification and case study of each material from 10 domestic brands and 46 foreign brands and finally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plans of the upcycling bag design. The brands selection was based 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exhibitions, documents, books and web sites.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 First, this study researched the upcycling concept, the advent of upcycling design, domestic, foreign present condition and the necessity of upcycling bag design. Second, for a brand case study, materials for an upcycling bag design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follows ; a type of waste textile, waste plastic, waste leather, waste paper, waste tire. Third, each material attribute was deduced after integrating all case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plans of an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 the types of an upcycling bag design is as follows. First, a main type is waste textile, in addition, covers for a truck, placards, signboards, remnants of cloth, clothes, military uniforms, blankets, tents, parachutes, fire hoses, seat belts, car sheets, plane seats and sacks for coffee are used. Second, a type of waste plastic including doggie bags and plastic bags is mostly used. Third, a type of waste leather such as old leather garments, remnants of leather shoes, a belt, car sheets, waste furniture and gymnastic gears is utilized. Fourth, a type of waste paper such as magazines, catalogs, and coated newspapers is utilized. Fifth, a type of waste tire is utilized using inner tubes of a tire and is especially developed into glossy leathery fabrics with high quality. Based on thes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an upcycling bag design are as follows. First, an upcycling bag design combines different materials. Second, it frequently uses crafts techniques. Third, it has scarcity value because of supply limit for materials. Fourth, it has durability to enable reuse by dismantling wasted goods. This study suggests the revitalization plan of an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from this research on the material type and attribute of an upcycling bag desig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upcycling bags from many tries and experiments. Second, we need to gentrify materials with finding new handcraft techniques. Third, the differentiated value should be created by product development with individual unique sensibility. Fourth, high-quality materials should be found through developing new technologies and investment. This revitalization plan will be able to raise the status of products and create added value in the Korean upcycling market where social concern and industrial foundation are vulnerab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