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오디 시설재배기술이라는 신기술을 수용하지 않은 농가 200명을 대상으로 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이론을 결합한 연구모델을 통해 각각의 요인들이신기술 수용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유용성, 용이성, 위험성이라는 내생변수를 통해 신기술 수용 및 확산에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채택된 지표중에서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혁신성과 인지된 위험성 변수의 교육지원 품질, 기술지원 품질과 자금지원정도 지표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지표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오디 시설재배의 조기확산을 위해서는 먼저 기술보급 담당자의 전문성과 기술수준을 높이고, 신기술 수용농가와 더불어 애로사항발생에 따른 해결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오디재배 농가들은 시설재배기술이 쉽지만 시설투자에 대한 부담 때문에 유용성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므로 시설투자비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자금보조가필요하다. 끝으로 기술수용에 부정적인 농가들을 대상으로 재배기술교육과 신기술수용현장견학과 경영성과에 대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빠른 시일 내에 보급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 for 200 farmhouses who didn’t accept new technologylike mulberry Protected Cultivation. Through research model combinedInnovation diffusion theory(IDT)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itanalysed which factors affect for new technology acceptance and diffusion. Toverify relations between external factors which affect new technologyacceptance and diffusion by endogenous variable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riskiness, with external factors, mothedused to analyse it. Most of adopted variables were showed positive resultsexcept for individual innovativeness and reli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these analyses, we can suggest rapid. First, technique diffusion agents shouldhave heighten the level of expertise and technology, and build up the networkto solve difficulties with technique supply with mulberry farmhouses. Secondlyfarmhouses of mulberry outdoor cultivation showed positive attitude protectedcultivation, but negative attitude it bacause of the burden of facilitiesinvestment. Thus, it is needed to capital investment for individual farmhousehold. Finally, through cultivation technology education, field trip aboutmulberry protected cultivation, we can diffuse technology receive for negativefar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