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내륙국가인 몽골의 물류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몽골진출을 위해 노력하는 한국기업들의 몽골진출을 위한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몽골은 풍부한 지하자원의 개발과 수출을 위한 물류인프라의 구축이 절실하다. 둘째, 다각적인 물류망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몽골정부는 광물자원 수송경로의 다변화를 위해 TMGR-TSR/TCR철도노선을 연계개발 추진 중이다. 셋째, 물류인프라는 국가발전의 중요한 요소이며, 국가정책의 일환으로써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광산자원의 원재료수출에서 제조업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향상시키는 전략이 요구된다. 포장이사의 선두이자 대중화를 선도한 KGB물류그룹이 최근 몽골법인 KGB MGL을 세우고 다양한 관계형성을 추진하는 것도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과 몽골의 지속적인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이에 따른 한·몽 양 정부 간 효율적인 물류정책 방안과 효과적인 물류정책의 시행이 절실히 요구된다.
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ogistics of Mongolia, an inland nation, and to give strategic insight for Korean enterprises which are trying to extend their business to Mongolia. Mongolia needs to build logistic infrastructure to develop and export abundant underground resources. They also need to make efforts to build multilateral logistic networks. Recently, the Mongolian government has been working to develop a TMGR-TSR/TCR railway route to diversify the transport routes of mineral resources. The logistic infrastructure is an important element in national development,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is required as a national policy. Strategies are required in order to create and improve the value of exporting raw materials and developing manufacturing. A good example is the KGB logistic group, which leads the packing and moving businesses and which recently established a Mongolian branch, KGB MGL, and which has built diverse relationships. In order to build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Mongolia, we need to implement efficient and effective logistic policies between the Korean and Mongolian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