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루소의 도덕교육에서 정념, 이성과 동정의 상호작용
Interplay of Passion, Reason, and Pity in the Moral Education of Rousseau
이기범 ( Gi Beom Lee )
교육철학연구 36권 2호 121-143(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04103

루소는 근대적 형태의 이성이 타자 의존적 ‘인정 투쟁’과 이기심을 증폭시켜 자유와 평등을 왜곡시킨다고 비판한다. 루소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호존중과 공통이익에 헌신하는 인간을 양성할 수 있는 도덕교육을 제시한다. 도덕교육의 핵심은 자연 상태인 ‘완전가능성’의 조건에서 도출된 정념을 마음의 중심으로 설정하고, 정념이 이성에 의하여 인도되고 동정에 의하여 변화되어 도덕으로 일반화되도록 발달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성은 정념의 발달에 필요한 판단, 추론과 성찰 기능을 제공하여 보편적 도덕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루소의 도덕교육은 최소한 세 가지 목표를 갖는다. 첫째, 자애심의 발달을 감각 발달과 함께 도모하여 후속 발달의 기초를 만든다. 둘째, 공감과 동정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인간의 마음이 개인적 차원을 벗어나 사회적 차원에서 ‘구체적 타자’를 존중할 수 있도록 도덕적 추론을 발달시킨다. 셋째, 이성의 조력에 의하여 공감, 동정과 추론을 일반화하여 상호존중의 대상을 인류라는 ‘추상적 타자’로 확대함으로써 보편적 도덕과 정의를 형성한다. 이러한 교육은 공동체적 정체성이 매우 강한 시민을 요구하는 루소의 시민교육과 구분된다. 루소가 제시하는 도덕교육과 시민교육의 적정한 연계에 관한 논의에 참고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Rousseau, modern society has been on the moral decline due to excessive egoism and other-dependence aggravated by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o remedy this kind of distortion, Rousseau proposes moral education. In this education, passion, drawn from the ideal of perfectibility, plays a central role while being guided by reason and transformed by pity. For a passion-centered moral education, passions such as amour de soi and amour-propre do not need to be suppressed or restricted and they rather require direction to their proper end in the form of universal morality and justice. In this process, the sentiment of pity and the intelligence of reason serve passion for expanding its concern from the concrete others to the generalized and abstract others. This paper focuses on how passion, reason and pity interact each other for further moral development into justice. The unity of passion and reason is what makes informed moral beings and allows them to pursue the reciprocal recognition and common interest among equals. This paper finally examines the ways to connect moral education to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Rousseau`s framework.

I. 서론
II. 교육의 조건으로서의 완전가능성, 정념과 이성
III. 정념과 이성의 상호작용에 관한 비판과 대안
IV. 정념이 주도하는 도덕교육과 보편적 도덕의 형성
V.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