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는 전반적인 아동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최악의 경우 아동은 사망에 이르게 된다.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동학대 사망사례의 실태와 관련요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사망사례가 과소보고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기는 하나, 아동학대 사망사례에 대해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아동학대 사망사례를 이용하여 학대로 인한 사망사례의 현황과 예측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아동학대 사망사례는 총 74건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아동이 사망하지 않은 고위험 만성 비(非)사망 사례에 비해, 아동이 1세미만인경우, 신체학대가 발생한 경우 아동학대로 인해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방법 및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Child abuse can lead to a wide range of adverse consequences for children and finally result in child abuse fatalities.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fatalitie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causes of death resulting from child ab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rrent state of child abuse fatalities and to determine their predictor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used cases of child abuse resulting in death reported by the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NCPA). Although child abuse fatalities were undercounted by the NCPA, it is considered to contain adequate information regarding child abuse fatalities. According to the report from the NCPA, from 2002 to 2011, 74 children died from abuse.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confirmed that children who were less than 1-year-old and suffered from physical abuse had higher possibilities of dying from abuse.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 for child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