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후보
이야기놀이치료에 기초한 사정평가 적용 사례 연구 : Faoeti의 이론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Assessments Based on Theoretical Narrative Play Therapy -Focused on Faoeti`s Theory-
박진희 ( Jin Hee Park ) , 유진희 ( Mee Sook Yoo )
UCI I410-ECN-0102-2015-100-000354107

본 연구는 이야기 놀이치료에서 활용하는 사정평가를 통해 사정평가의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Faoite(2011a)가 제시한 평가목록인 부모-아동 사정평가, 치료사-아동 사정평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실시하는 아동 사정평가를 적용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행동패턴 및 대처행동 방식과 아동의 욕구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더불어 부모와의 관계, 생태학적인 환경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행동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치료사와 아동이 라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고 부모는 아동과 공유할 수 있는 희망과 회복력을 찾는 과정을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면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정평가는 치료목표 및 전략을 설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들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야기놀이치료의 사정평가에 관한 활용방법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sessments based on theoretical Narrative play therapy. The authors conducted case studies by referring the assessment list in respect of the parent-child, the child-therapist and the context of the child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as presented by Faoite(2011a). As a result, behavior patterns and the means of coping behaviors as they related to the child`s desires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 and the child`s behavior, was uncovered, as revealed through the ecological environment. Furthermore, the assessment helped the therapist and child to establish a good working rapport and enabled the parent to see positive aspects of their child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sharable hopes and recuperative powers with their child. Moreover, the assessment provided a great variety of data which proved useful in establishing the goals and strategies of the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will help play therapist to better understand the Narrative play therapy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assessment for Narrative play therapy.

Ⅰ. 서 론
Ⅱ. 이야기놀이치료와 사정평가
Ⅲ. 이야기놀이치료에 기초한 사정평가 적용 사례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