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4.141.142
18.224.141.142
close menu
}
KCI 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al Attachment, Self-Determination, Academic Stress and Self-Efficacy by Child
김춘경 ( Choon Kyung Kim ) , 조민규 ( Min Kyu Cho )
UCI I410-ECN-0102-2015-300-000350650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을 밝혀, 변인들의 관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애착,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스트레스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모애착과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쳤지만, 아동이 지각한 부애착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애착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아동의 모애착과 자기결정성동기는 학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모애착은 자기결정성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애착은 자기결정성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현장에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perceived by child. 444 students from the 5th to 6th grade in Gyung-buk/Daegu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elf-efficacy, parental attachment, self-determination and academic stress. The sample variance-con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8.0, and the maximum likehood minimization function(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nal attachment, self-determination and academic stress of perceived by child directly affects their self-efficacy; however, the fraternal attachment that was perceived doesn’t inherently or directly affect their self-efficacy. Second, fraternal attachment of perceived by child; however, the maternal attachment and self-determination that was perceived doesn’t inherently or directly affect their academic stress.. Thirdly, maternal attachment perceived by child directly affects their self-determination; however, the fraternal attachment that was perceived doesn’t inherently or directly affect their self-determination. Lastly, these results implicated intervention tactics for self-efficacy and suggested possible future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