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후보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rauma Exposur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 of Self-System Traumatization
한수경 ( Su Gyeong Han ) , 정남운 ( Nam Woon Chung )
인간이해 35권 1호 149-168(20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617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체계손상이 매개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시 소재 인문계, 전문계, 남녀고등학교 재학생 6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기 외상 질문지,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 MC-13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간 외상경험은 자기체계손상과 대인 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간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를 자기체계손상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과 그로 인한 자기체계손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상담장면에서 상담적 개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들과의 관련성과 함께 연구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ystem traumat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ev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The data for this study consist of 694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the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 School Violence Scale, Traumatic Self-System Scal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and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Mediational effects were evaluated via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ev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system traumatiz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fully mediated by self-system traumatization. These results contribute to increased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regarding interpersonal trauma, traumatized self-system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방법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