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양한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시대적 요구 아래 현재 한글 활자가족에서는 정립되지 않은 이탤릭 활자로서 오블리크 스타일과 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이다. 한글 돋움체의 오블리크 스타일을 위한 기준 정립과 그 체계의 구축 확립을 위한 목적아래, 서구 알파벳 활자가족의 역사와 이탤릭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와 함께 한글 디지털 돋움체의 오블리크 스타일 실험과 분석을 통해 그에 상응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실험에서 기준으로 설정된 기울기 8도, 10도, 12도를 바탕으로 돋움체의 기초조형요소, 자모합성 및 타이포그래피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 줄기 및 대표 자음인 “ㅋ”, “ㅌ”, “ㅁ”, “ㅈ”, “ㅇ” 과 모음에서 두드러진 주요특징으로는 가로 및 세로줄기, 덧 줄기, 삐침, 내리점, 동글 이응 등에서 줄기의 굵기, 길이의 착시 등의 왜곡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발생되는 시지각 현상으로 자모합성 및 타이포그래피에서는 글자 폭과 글자크기, 글자사이와 낱말사이 그리고 혼합조판에서의 가독성과 판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한글은 영문보다 많은 줄기의 밀집된 기울기가 이탤릭체 개발에 시각 착시와 왜곡현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한글의 특성에 적합한 기울기로 8도를 제안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글자형태의 왜곡 및 착시현상에 따른 세밀한 시각보정을 통해 조화와 균형을 이룬 진정한 이탤릭으로서의 오블리크 스타일 개발의 기준을 삼아야 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diverse typographic needs of the times, this paper focuses on a fundamental study of the oblique style, an italic type style which is yet to be established among typeface families of the Korean alphabet Hangul``s typograph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xisting standard and to develop a system for the oblique style of the Hanguel Dodum typeface. By analyzing the history of typeface families of western alphabe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italic types and conducting parallel experiments and analysis on the oblique style for the traditional Korean san-serif digital typefac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new standard. By applying 8, 10 and 12 degree angles as experiment standards for this paper``s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discovered about basic formative elements, combinations of vowel and consonant letters, and typography.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stroke as well as archetypical Hangul consonants such as "ㅋ," "ㅌ," "ㅁ," "ㅈ," "ㅇ" and vowels turned out to display optical illusions as to their weight and length. Also, distortion appeared on vertical and horizontal strokes, additional stroke to the basic consonant "ㅋ," two opposite diagonal strokes from "ㅈ," and the letter "round ㅇ." The effects on visual perception, which originated from optical illusion and distortion in terms of weight and length, consequently influenced the width and size of letters and the spacing between letters and words with combinations of vowels and consonants and typography and also affected the readability and legibility of mixed typesets. This study recommends an 8-degree angle for the Korean alphabet Hangul. The recommendation i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angul, especially due to the fact that greater optical illusion and distortion occurs with Hangul’s concentrated basic strokes compared to English typograph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detailed, sophisticated visual correction should be performed against optical illusion and distortion in order to develop the oblique style into a well-balanced true italic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