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on Urban Space
이우성 ( Woo Sung Lee ) , 정성관 ( Sung Gwan Jung ) , 박경훈 ( Kyung Hun Park ) , 유주한 ( Ju Han You )
DOI 10.11108/kagis.2014.17.2.015
UCI I410-ECN-0102-2015-500-000378254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의 녹지환경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녹지계획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의 7개 행정구 중 녹지의 공간적 불균형이 가장 심화 된 지역인 달서구를 선정하였다. 녹지환경 평가를 위한 세 가지 기능은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설정하였다. 자연생태적 기능의 평가에서는‘녹지연결성’과‘동물이동성’을 지 표로 활용하였으며, 환경조절적 기능 평가에서는‘열환경’과‘기온저감기능’, 이용적 기능 평가 에서는‘녹지의 서비스공급량’을 지표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Ⅰ등급 지역인 녹지환 경 우수지역은 달서구 전체면적의 44.8%를 점하며, 대부분 남동쪽의 앞산과 비슬산, 북쪽의 궁산 과 와룡산의 산림녹지를 따라 분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Ⅳ등급 지역인 녹지환경 단절지 역은 감삼동과 죽전동의 주거지역, 월성1동과 진천동의 주거 및 공업지역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 체면적의 5.5%를 점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은 향후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녹 지 조성 및 배치를 위한 계획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stablished for assessing the green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step of nature-ecological function,‘green connectivity’and‘animal movement’were used. Also,‘thermal environment’and‘temperature decrease’were utilized in terms of environment-control function and‘green space’s service supply’were utilized in terms of us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grated assessment, the green rich zone(Grade Ⅰ) was 44.8% of total area in Dalseo and this zone was distributed along the southern forest of Mt. Ap and Mt. Biseul and the northern forest of Mt. Gung and Mt. Waryong. On the other hand, the green broken zone(Grade Ⅳ) was located in the residential areas of Gamsam and Jukjeon and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of Wolseong 1 and Jincheon and this zone was 5.5% of total are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lan criteria for construction and distribution of green space in urban master plan.

서 론
연구 대상지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주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