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한국판 기분 및 불안 증상 질문지(K-MASQ)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od and Anxiety Symptom Questionnaire(K-MASQ)
이현 ( Hyun Lee ) , 김근향 ( Keun Hyang Kim )
UCI I410-ECN-0102-2015-100-0003836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기분 및 불안 증상 질문지(Mood and Anxiety Symptom Questionnaire; MASQ)의 요인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성인 553명(남자 113명, 여자 440명)에게 K-MASQ, BDI-Ⅱ, BAI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335명의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기존 연구와 동일한 3개의 하위요인을 가진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는데 각 요인을 “일반적 고통”, “신체적 불안”, “낮은 긍정정서”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설명력이 낮고 요인 간 변별력이 낮았던 문항들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77문항을 선택하였으며 최종 문항들에 대한 내적 합치도(cronbach``s α)가 .92로 높게 나타났다. 21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합도 지수는 NNFI=.80, CFI=.80, RMSEA=.06으로 나타나 K-MASQ의 3요인 구조가 비교적 적절한 모델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K-MASQ는 BDI-Ⅱ와 BAI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공존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od and Anxiety Symptom Questionnaire(K-MASQ). K-MASQ, BDI-Ⅱ and BAI were administered to 553 ad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results of explan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 3 factor model was adequately supported by omission of 13 items: “general distress”, “somatic anxiety” and “positive a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goodness of fit-index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s as follows: NNFI=.80, CFI=.80, RMSEA=.06.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MASQ was evaluated.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an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MASQ were acceptab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MASQ is a reliable, valid tool for assessment of mood and anxiety symptoms.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