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한국판 부모 양육효능감 검사(K-PSOC) 및 배우자 양육협력 검사(K-PAI)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김정미 ( Jeong Mee Kim ) , 임희선 ( Hee Sun Lim ) , 허성호 ( Sungho Heo )
UCI I410-ECN-0102-2015-100-00040349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양육효능감 검사(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와 배우자 양육협력검사(Parenting Alliance Inventory; PAI)의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22개 어린이집에 소속된 만 1∼6세 사이 영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1051명이었다. 연구절차는 검사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문항반응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 선정된 문항에 대해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PSOC가 총 15개 항목 2개 요인구조, PAI는 14개 항목 2개 요인구조가 한국에서는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각 검사의 신뢰도검증을 위해 내적합치도 계수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한편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효능감과 스트레스검사 요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검사별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수준으로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에 따라 본 검사들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배우자 양육협력 정도를 측정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SOC) and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PAI). A total of 1051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ged 1 to 6 years participa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SOC consists of 15 items and two factors, and that the PAI consists of 14 items and two factors. The each factor from the PSOC and PAI demonstrated clear convergent validity, proper internal consistency, and good test-retest reliability.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good model fit for both measures supporting their good construct validities.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Korean versions of PSOC, PAI and K-PSI, suggesting good concurrent validity.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s of PSOC and PAI appear to be useful tools for assessing parenting efficacy and cooperation amo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