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백내장 수술 후 음성 이상광시증이 발생한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관련 인자들을 분석하고, 백내장 수술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초음파 유화술 및 후방인공수정체 삽입술을 받은 690명 102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음성 이상광시증의 발병률과 삽입된 인공 수정체의 종류 및 투명각막 절개 위치와의 관련성과 Nd:YAG 레이저 전낭절개술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고, 전화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음성 이상광시증이 백내장 수술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음성 이상광시증은 인공수정체를 성공적으로 낭내에 삽입한 환자들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후 교정시력과 시야는 정상이었으며,SN60WF를 삽입한 환자에서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당시 나이, 성별, 수술 전 전방깊이, 투명각막 절개의 위치 등에 따른음성 이상광시증의 발생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Nd:YAG 레이저 전낭절개술의 효과는 없었다. 음성 이상광시증이 발생한 모든환자들은 백내장 수술 후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수술의 만족도가 저하된다고 하였다. 결론: 음성 이상광시증은 백내장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증상이나 아직 원인과 관련인자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정확한 진단과 치료방법도 없으므로, 향후 대규모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seudophakic negative dysphotopsia after cataract surgery and toanalyze the risk factors of pseudophakic negative dysphotopsia as well as the postoperative effects on patient’s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20 eyes of 690 patients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and posterior chamber lens insertionbetween January 2010 and March 2012.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negativedysphotopsia according to the site of clear corneal incision during cataract surgery and the type of implanted intraocularlens (IOL). The clinical outcome of Neodymium:yttrium-aluminium-garnet (Nd:YAG) laser anterior capsulotomy in negative dysphotopsiapatients was evaluated. Using a telephone survey, patients were asked to subjectively answer 18 questions regardingsatisfaction after cataract surgery, the severity of visual symptoms and the effect of negative dysphotopsia in their daily life. Results: Negative dysphotopsia developed in patients who underwent uneventful cataract surgery and successful implantationof IOL in the bag. The patients’ vision was corrected up to 20/20 (0.00 log MAR) and HVF P60-4 showed no abnormality in theirvisual field.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patients with the SN60WF IOL who reported negative dysphotopsia but no other factors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negative dysphotopsia. During the telephone survey, patie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their daily life related to the negative dysphotopsia symptoms and reported decreased satisfaction after cataract surgery. Conclusions: Although negative dysphotopsia can decrease the patient’s satisfaction after cataract surgery, the genesis of negativedysphotopsia and an objective method to test for negative dysphotopsia is necessary. Therefore, a prospective large studysh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cause and treatment of negative dysphotop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