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에 수록된 305편의 시편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 속에 출현한 나무의 종류와 출현 빈도, 나무를 표현한 유형, 출현한 나무들이 시 속에서 비유 또는 상징하는 의미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자의 시론에서 거론된 바와 같이『시경』에 수록된 전체 시편에는 포유동물, 조류, 어류, 패류, 양서·파충류, 곤충류 등의 다양한 동물들과 식용 및 약용 식물, 기타 초본류 등다양한 식물들이 시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시경』에 수록된 시 가운데 99편의 시에 나무가 출현하여 33%의 출현율을 보였고, 부분별로는「소아」43.2%, 「국풍」34.4%, 「대아」25.8%, 「송」10%의 순이었다. 특히, 「소아」<‘사슴’에서 ‘남해’까지>는 수록된 9편의 시 가운데 7편에 나무가 출현하여 77.8%로 가장 높은 출현비율을 보였다. 99편의 시에 47종류의 수목이 256회 출현하였고, 부분별로는 「국풍」의 시 55편에 36종의 수목이 147회, 「소아」의 시 32편에 26종의 수목이 76회, 「대아」의시 8편에 16종의 수목이 24회, 「송」의 시 4편에 5종의 수목이 9회 출현하였다. 가장 많은 수종이 출현한 그룹은 「국풍」의 <진풍(秦風)>으로 15종의 수종이 출현하였고, 나무의 출현빈도가 가장 많은 그룹은「국풍」의 <당풍>으로 22회이며, 단일 시편으로 나무의 종류와 출현횟수가 많은 것은 「대아」의 <‘문왕’에서 ‘문왕의 명성’까지> ‘위대하다(皇矣)’로서 9종 11회가 출현하였다. 출현횟수가 가장 많은 수종은 나무와 뽕나무(30회)이고, 다음으로 칡(15회), 버드나무(14회), 소나무(12회), 떡갈나무(11회), 아가위나무(10회), 가시나(9회)의 순위이고, 14 수종은 1회만 출현하였다. 나무들이 시 안에서 묘사된 유형은 꽃, 열매, 잎, 나뭇단, 쓰임새(재료), 그늘 또는 만남의 장소, 새가 앉거나 깃드는 공간, 대구(對句)형태, 동일 수종의 반복적 사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나무들은 시 안에서 대부분 시구를 구성하는 소재로 사용되었지만 자식, 인물의 덕성, 가족 또는 형제애, 여자의 아름다운 얼굴, 세월의 흐름, 그리움, 남녀의 만남 또는 결합, 영생(장생), 쓸모없는 물건 또는 사람 등의 비유와 상징으로 사용된 경우도 많았다.
In evaluating the entirety of poems contained in The Book of Odes, various kinds of animals such as mammals, birds, fish, clams, amphibians, reptiles, and even insects make appearances. Furthermore, numerous edible or herbal plants including other herbaceous plants are also used as materials for the poems. Among the total collection of poems, 99% contain tree materials, which shows a 33% frequency rate, and in general, 47 species of trees appear 256 times. One single poem contains eleven trees, of which nine are of different species. The most frequently used species in the poems is trees, among which mulberry trees appear 30 times. The other trees appear in the following order: arrowroot (15 times), willow trees (14), pine trees (12), and oak trees (11). The other 14 species of trees are used only once each. The trees are used in various linguistic ways in the poems, while containing different metaphors and symb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