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불안검사 결과가 유의한 차이가 없는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일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각각 10주에 걸쳐 적용한 후 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급은 사전·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급은 의사소통불안 요소의 소집단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일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두 학급간의 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결과에서는 수학시간과 소집단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시간의 발표, 소집단에 대한 의사소통불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torytelling in Mathematics Instruction effects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order to do this, I selected two grade six class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CA) test. I applied normal storytelling and digital storytelling to each of the classes for ten weeks then analyzed the effects through the post CA test. As a result, for Normal Storytelling Class (NSC),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x ante and ex post CA test results. However, for Digital Storytelling Class (DSC),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regards to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subgroup. Also, between the two NSC and DSC groups`` post CA result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athematics lesson and subgroup factors.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e appliance of Digital Storytelling helps lower CA in 6th graders participation in math class and sub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