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김현의 초기 비평에 나타난 주체화와 담론의 특성
Subjectification and characteristic of discourse shown on early criticism by Kim Hyeon
강경화 ( Gyeong Hwa Kang )
현대문학이론연구 56권 173-200(28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492998

김현의 초기 비평에서 ``만남``은 김현의 비평적 주체화와 정신사적 내면을 응축하는 상징적 표지이다. 그 ``만남``은 세 층위로 포개져 있는데, <자기 존재와의 ``대면``과 ``만남``>, <타자와의 ``만남``과 ``사랑``>, <``존재``와 ``언어``의 만남>이 그것이다. 이 과정에서 김현은 비평가로서 자신의 운명을 보았는데, 비평은 그에게 ``실존적 기획``이자 자기 삶의 실현이었다. 김현의 초기 비평은 신화와 우화의 차용, 쉼표와 줄표의 빈번한 사용, 서술어와 어절의 반복, 수사적이고 비유적인 문장 등을 통해 감정을 고양시키고 정서적으로 수용하게 만든다. 이러한 특성은 60년대 중반 이후에는 분석적이고 정연한 논리, 장황하지 않는 단문, 차분하고 안정적인 문체로 표현된다. 그러나 50년대 문학과의 차별화를 통한 주체화의 과정에서는 공격적이고 전략적인 담론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한편 초기 김현의 비평적 기반이었던 프랑스문학은 인식과 판단의 절대적 준거였다. 때문에 그의 초기 비평에는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론과 실존주의 문학론 등이 인용의 형태로 수없이 출몰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점차 비평 전체에 걸쳐 변화와 갱신의 과정을 통해 극복한다. 김현의 초기 비평에는 그 내적 계기들과 변모의 구체적인 모습이 담겨 있다.

``Encounter`` in the early criticism by Kim Hyeon is symbolic cover to condense critical subjectification and inner side of mental history of Kim Hyeon. The ``encounter`` is overlapped in three layers, that is, <``facing`` and ``encounter`` with one`s own self >, <``encounter`` and ``love`` with the others>, . The process was ``existential planning`` and also realization of his own life to him. Early criticism discourse of Kim Hyeon heightens emotion and makes readers accept sentimentally through borrowing of myth and fable, frequent use of comma and dash, repetition of predicate and phrase, rhetorical and metaphoric sentence etc.. Such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in analytic and well-ordered logic, tidy short sentence, calm and stable writing style after the middle of 1960s. But in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through differentiation with literature in the 1950s, he used aggressive and strategic discourses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French literature which was critical ground in his early criticism was absolute criterium for recognition and judgement. Such problem was gradually overcome through process of change and renewal for whole criticism. And this was connected to exploration of Korean ``imagination system`` and critical efforts to seek ``ideology type`` of Korean literature.

Ⅰ. 문제 제기
Ⅱ. 실존적 기획으로서 주체화와 ‘만남’의 세 층위
Ⅲ. 초기 비평인식의 변모와 담론의 특성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