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철학은 니힐리즘의 극복을 목표로 한다. 니힐리즘이란 지금까지 인간을 지배했던 최고의 가치가 무의미해진 상태 그리고 그 상태를 극복할 새로운 가치도 도래하지 않은 의미의 진공상태를 뜻한다. 따라서 니힐리즘이란 인간에게 가장 위험한 상태를 의미한다. ‘신은 죽었다’라는 니체의 선언은 니힐리즘의 도래와 그것의 위기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니체에게 니힐리즘의 뿌리는 형이상학과 선·악의 도덕이다. 형이상학과 유럽의 도덕은 인간들에게 대지의 삶 보다는 천국의 삶을 가르친다. 가치는 초월자나 보편적 이성에 의해 주어진 것이며 인간은 그것을 따라야만 한다고 믿는다. 근대는 초월적 신의 허구 성을 깨닫지만, 여전히 보편적 진리와 가치의 불변성을 옹호한다. 그러나 천국에서의 행복이 지상에서 가능하다던 근대의 약속은 거짓이었으며, 인간들을 니힐리즘의 늪으로 몰아간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서 니힐리즘 극복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을까? 니체는 철학사가 오랫동안 주목하지 않은 ‘놀이’에 눈을 돌린다. 놀이가 가진 근본적 의미는 헤라클레이토스가 선구적으로 보여준다. 놀이는 세계와 삶이 가진 우연의 근본적 가치를 상기시킨다. 놀이는 가치가 우연의 놀이에 의해 생성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바로 이 놀이의 정신이 가치의 진공상태에서 신음하 는 인간에게 길을 제시한다. 20세기 철학자들이 놀이에 주목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Nietzsches Philosophie hat zum Ziel, den Nihilismus zu uberwinden. Der Nihilismus hangt wesentlich mit der Entwertung der bisherigen obesten Werte wie ‘Gott’, ‘Vernunft’, ‘Subjekt’ zusammen. Nietzsche verkundet die Heaufkunft des Nihilismus, weil ‘Gott tot ist’. Der Nihilismus ist die großte Gefahr fur das Leben, denn das Leben gerat in das Vakuum des Sinnes. Fur Nietzsche wurzelt der Nihilismus tief in der Metaphysik und der ‘Gut-Bose-Moral’. Abendlandissche Metaphysik und Moral achtete nicht auf das Leben auf der Erde, sondern auf das Leben im Himmel. Nietzsche beurteilt auch die Moderne als physiologischen Selbstwiderspruch, weil nach ihm in der Moderne Niedergangswerte, nihilistische Werte unter den heiligsten Namen die Herrschaft fuhren. Wie und wo konnen wir einen Leitfaden finden, um den Nihilismus uberzuwinden? Nietzsche richtet seine Aufmerksamkeit auf Heraklit, wobei das ‘Spiel’ im Vordergrund steht. Im Heraklit-Fragment B52 erblickt Nietzsche das, was er ‘asthetische Grundkonzeption’ vom Spiel der Welt nennt. Nietzsche erblick im Spiel das konkrete Beispiel einer moglichen menschlichen Tatigkeit, die sich nicht durch vernunftige Zwecke und Ziele leiten lasst, sondern im Grunde zweck- und Ziellos ist. Fur Nietzsche ergeben sich die neuen Werte aus dem Spiel. Das Schaffen der neuen Werte bedeutet den Anfang der Uberwindung des Nihilis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