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183.104
18.117.183.104
close menu
}
KCI 후보
중소기업 기술보호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가칭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법」의 제정안을 중심으로-
Problems and Legal Solutions related to the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in Korea
박정구 ( Jeong Ku Park )
UCI I410-ECN-0102-2015-300-000509242

최근 중소ㆍ벤처기업의 기술유출 및 기술탈취의 피해가 급증함으로 인하여 중소기업의 경영에 상당한 위험이 되고 이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의원입법의 형태로 중소기업 기술의 유출 및 탈취를 방지하고, 중소기업기술보호를 위한 지원기반의 확충과 관련 시책을 수립ㆍ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가칭 중소기업기술보호지원법률안이 상정되었다. 기업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말미암은 중소기업문제의 본질은 결국 중소기업의 경쟁력문제이다.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말미암아 중소기업의 경쟁력 있는 기술보유여부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제고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중소ㆍ벤처기업의 기술유출ㆍ기술탈취 피해를 방지하고 중소기업의 기술보호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중소기업기술보호지원법의 제정은 중소기업의 경쟁력제고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경쟁적 구조에서 나온다는 점이다. 경쟁적 구조를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잘못된 정부의 중소기업 관련 정책이나 제도일 수 있다. 잘못된 중소기업 관련정책이나 제도는 오히려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중소기업기술보호지원법상의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정책은 중장기적 차원의 중소기업의 경쟁력강화라는 측면에서 그 필요성 여부를 검토하여야 하며, 정책의 방향이 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구조적 지원정책이 되어야 한다. 또한 수요자인 중소기업자가 접근하기 쉽고 활용하기 쉬워야 하며, 이를 위해 법률지원제도의 체계가 단순하고 정연하며 내용이 명료하고 평이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요자인 중소기업 중심의 효율적인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정책을 위해서는 중소기업기술보호지원의 체계적 정비와 더불어 중소기업기술보호지원에 대한 중소기업기본법상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problems and legal solutions of the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in Korea, focused on the draft of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Ac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e business environment related to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has recently changed by global competition. With the change of the business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the technology of SMEs in the economy sect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erve as a source of dynamism of the Korean economy and play a leading role in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crea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acting as a seedbed for market competi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and societies. To enable this source of dynamism for the Korean economy, the SME policies will encourage SMEs to be innovative in business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develop the environment for the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technology protection service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of government i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SMEs in the global economy and the system should be based on the competition policies in the small business sector. The article of 24 of the draf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Act is intended for all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 to support directly the certain amount for their legal costs. Some survey researche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SMEs also reflect that the current Korean technology protect support system has several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technology protect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hould be enacted based on the competition policies. They will encourage SM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for the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The Basic Act on SMEs of Korea should be also amended towards support for the new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Ac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Ⅰ. 머리말
Ⅱ. 중소기업 기술유출 현황 및 기술보호 관련 법제도 비교
Ⅲ. 중소기업기술보호지원법의 필요성과 제정안의 주요내용
Ⅳ. 중소기업 기술보호지원정책의 문제점과 제언
Ⅴ.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