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담당 특수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거점학교 운영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 7명을 심층 면담한 후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작’, ‘본격적 운영’, ‘성장’, ‘관계의 형성’, ‘거점학교 운영의 의미와 가치’의 5개 상위 범주, ‘전문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시작하다’, ‘거점학교를 만들어나가다’, ‘거점학교의 시작, 교내의 긍정적인 인식에서 가능하다’, ‘재학생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다’, ‘실습, 취업한 학생을 직무지도하다’, ‘거점학교 운영으로 학부모도, 교사도 성장하다’, ‘거점학교 운영으로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하다’, ‘관계에서의 고충을 겪다’, ‘거점학교를 위한, 거점학교를 통한, 관계의 개선을 이루다’, ‘거점학교 운영을 통해 배우다’, ‘거점학교에 바라다’의 11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38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거점학교 운영을 통해 배우고 성장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정리하여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ractical data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whom professionalism on vocational training cours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hose 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job-centered school`` that i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in the community. After making one-on-one interviews, analyzed using Giorgi analytical method. As a result of study, it was deduced to 5 categories, 11 sub-categories, and 38 meaning units. The 5 categories that were ``Experience at the Start of job centered school``, ``Experience of Full-scale management about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Growth through management``, ``Experience of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management``,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job-centered school``. In conclusion, through the operation of ``job-centered school``, meaningful in that vocational education ability of teacher can be enhanced. Moreover, the study could know a fact that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job-centered schoo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training supports from 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