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t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Narrative Inquiry in Educational Research: The Concept, Procedure, and Dilemmas
염지숙 ( Ji Sook Yeom )
교육인류학연구 6권 1호 119-140(22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5337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글에서는 질적 연구의 한 형태로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가 개발하고 발전시켜온 내러티브 탐구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필요성1 내려티브 탐구의 구체적인 수행 절차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 탐구 수행 시 연구자가 경험할 수 있는 딜레마와, 좋은 내러티브 탐구자가 되기 위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필요성올 언급하는데 있어서, 궬넬리와 클랜디닌은 교육 연구에서 우리의 관심은 교사와 학생들의 삶 의 경험이며, 내러티브가 경혐의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방법들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한다. 연구 수행 절차 부분에는 현장에 들어 가는 단계,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현장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체, 연구 텍스트 구성올 위해 경협에 대한 의미를 만드는 단계,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연구자가 유념해야하는 면들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에 더하여, 이 글에서는 블랜디닌과 코낼리(2000)가 내러티브 탐구라는 연구 방법의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발전시킨 은유적 용어, ‘내려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three-diment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좋은 내리티브 탐구를 위해, 일상의 삶 속에서 현상을 내러티브적으로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일을 실천하는 내러티브 탐구자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narrative inquiry which wa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It was begun and develop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What is narrative inquiry, why it is important in educational research, and what is the specific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were described. What are the dilemmas of narrative inquiry and what makes a good narrative inquirer were examined. It was emphasized for the narrative inquirers to observe, think, and feel narratively the phenomena of the daily lives to do good narrative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