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보들레르의 미술비평과 시학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와 형식
La Critique d`art et la poetique de Charles Baudelaire -la modernite historique de l`art et sa forme
정의진 ( Eui Jin Jung )
기호학 연구 38권 241-271(31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88102

이상적인 비평의 성격을 <유쾌하고도 시적인 비평>, <편파적이고, 열정적이고, 정치적>이되 <이 관점이 최대한의 지평을 여는> 비평이라고 규정하면서, 보들레르는 운문시와 비평사이의 담론적 특수성의 거리를 좁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평은, 회화적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감각적 경험을 언어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 즉 예술적 상호조응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1846년 살롱전』에서 보들레르가 표명한 입장이었다. 이러한 보들레르의 입장은 제2제정기 프랑스의 급속한 대도시화와 자본주의화를 경유하면서, 1850년대 말 이후부터는 현대예술과 산문시 및 예술비평 사이에 ``시적 산문``이라는 매개를 설정하는 새로운 입장으로 발전한다. 즉 사회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변화와 보다 직접적으로 연동된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에 대한 뚜렷한 자각과, 이에 대한 예술적 응전으로서의 새로운 예술형식에 대한 실천이 그의 후반기 텍스트들에서 전면화 된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보들레르는 전통적인 낭만주의적 이상, 순수예술과 예술적 상호조응의 이상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나아가 이를 ``시적 산문``의 이상으로 대체하고 현대화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이는 시와 미술, 언어와 이미지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Ut pictura poesis``라는 서구 예술사의 오랜 역사적 화두의 현대적 변용과 계승이기도 하다.

Baudelaire, en definissant l`ideal de la critique d`art comme , , a tente de rapprocher le poeme en vers et la critique du point de vue de la maniere specifique de la mise en discours. Dane le Salon de 1846, Baudelaire affirme que tel genre de tentative ne sera reussie que quand la critique d`art accepte totalement la problematique de la correspondance artistique, c`est-a-dire la reorganisation poetique et linguistique de l`image picturale. Or apres avoir vecu le developpement spectaculaire de l`urbanisation et l`industrialisation capitaliste a l`epoque du Second Empire, Baudelaire avance la nouvelle position pour l`art moderne, le poeme en prose et la critique d`art par le biais de la conception de la prose poetique. A partir de la fin des annees 1850, on decouvre sa prise de conscience pointue de l`historicite de la modernite artistique liee plus etroitement au changement economico-social et politique, et en meme temps, sa recherche de la nouvelle forme de l`art pour y repondre. Cependant, la nouvelle position de Baudelaire pour la modernite historique de l`art en face du changement tumultueux de la societe moderne, ne renonce pas a l`ideal romantique de la correspondance artistique. Il la modernise a nouveau avec la nouvelle conception de la prose poetique. Dans ce sens, sa conception de la modernite artistique continue la problematique traditionnelle occidentale de l`ut pictura poesis

Ⅰ. 들어가는 말
Ⅱ. 예술적 상호조응(correspondances)의 역사적 전사
Ⅲ. 보들레르의 미술비평과 예술적 상호조응 론
Ⅳ.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와 형식
Ⅴ. 나오는 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