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수업에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각도구인 지도는 하나의 시각적 객체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특히 지도의 지리적 표현을 전 지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세계지도는 세계지리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지리 교육에 지도가 가지는 가치를 확인하는데서 출발하여 기존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백지도가 과연 효과적인 세계지리 교육에 유용한가를 판단했다. 판단 결과 기존 백지도는 투영법, 공간데이터 사용 부문에서 부적절한 측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로빈슨 도법과 동경 150도를 중앙경선으로 한 투영법을 선정하였고 공신력있는 공간 데이터로 평가 받고있는 Natural Earth Data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기관의 자료들을 Head-up digitizing을 하여 주제도의 내용으로 확보하였다. 이들은 다시 한번 더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명암과 심볼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7종의 세계 백지도를 제작하였다.
Maps, visualizing tools for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in geography class, own a visual object having power to enlighten various information. Especially, world maps can show geographical expression for globe and can be effective tools for world geography edu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maps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For this, I raised a question of whether the outline maps currently used in schools are effective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Consequently, I found that the existing outline maps are inappropriate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map projections and the usage of spatial data. For edifying these faults, I selected Robinson projection with its central meridian at 150°E and applied Natural Earth Data as the major data source. Some thematic maps produced by various institutions were heads-up digitized to become another data source. Cartographic manipulations for improving legibility and enhancing intelligibility were applied to produce the final ma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