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후보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오선화 ( Sun Hwa Oh ) , 하은혜 ( Eun Hye Ha )
UCI I410-ECN-0102-2014-300-001641016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을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이 39.3%로 가장 많았고 1-2시간 미만이 29.9%, 2-3시간이 14.2%를 차지하였다. 둘째, 주 사용 기능으로 41.6%가 ‘카카오톡 등 SNS’라고 응답하였고 최다 사용 어플 리케이션도 ‘SNS’가 32.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점 및 ADHD 증상 총점 모두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빠질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총점과 하위 요인 모두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도 주의집중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DHD 증상 하위 요인 중 주의산만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한편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던 것에 반해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89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grades 5t and 6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results of the smart phone usage and type survey, the children`s total using time per a day indicated that 39.3% used the phone less than 1 hour, 29.9% less than 1-2 hours, and 14.2% 2-3 hours per day, respectively. Second, 41.6% of the respondents use on the major functions answered ‘SNS KakaoTalk etc.’ and the most use applications also were ‘SNS’ at a percentage of 32.4%. Third, the total score of the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Scale and ADHD symptom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mart phone addiction. Four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on smart phone, both overall and sub-factors impacted upon smart phone addi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ecution function impairments, attention deficit impairments were confirmed as being the best means of describing children`s smart phone addiction. Fif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ADHD symptoms on smart phone addiction, significant effects was confirmed. Additionally, sub-factors in ADHD symptoms relative to attention deficits showed the greatest impact. However, regarding smart phone addiction, the influence of impulsivity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ve term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