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일본어의 형용사 악센트변화의 실태조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악센트교육을 위하여-
日本語の形容詞アクセント變化の實態調査 -韓國人の日本語學習者のアクセント敎育のため-
이향란 ( Hyang Ran Lee )
일본어교육연구 28권 115-127(13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2073585

本硏究はアクセント辭典の新しいアクセント表記の必要性や今後韓國人日本語國習者のアクセント敎育に混亂が起こらないよう、共通語を使っている男女26名を對象に平板型形容詞や平板型とのゆれのある語、起伏式形容詞を活用別·世代別に實態調査を行ないその結果を分析してまとめた. 第1は、40代以上の形容詞アクセントより10代から30代の對象者の發音に變化が多かった. つまり形容詞アクセントは若い世代ほどその變化が目立っていると言えよう. 第2は、平板式·起伏式アクセントとも3拍語より4拍以上の語にその變化の割合が高く調査された. つまり拍數の長い語ほどアクセントの變化が多いと言える. 第3は、3·4拍語以上の平板型の終止形においては原則通り調査されたのはわずか35.2%だけで、-2への變化は63.2%も分析されたのに對して連體形においては19.2%のみ變化が現われ、終止形での-2の割合とは大きな差が見られたのが特徵である. 第4は、-2への變化は「~ク活用形」においても目立っている. 平板型28.3%、起伏式アクセントでは56.4%が-2への變化を見せている. 第5は、「~テ活用形」においては平板型ではあまり變化が起らず、起伏式ではアクセント核が1拍後ろにずれた型である-2への變化が原則(-3)よりかなり上回っている. 第6は、アクセント辭典記載のゆれのある形容詞はこの調査では平板型で發音する對象者は少なく起伏式アクセントで發音する人が多かった. 以上の結果から考えると、今後韓國人の日本語國習者に日本語の形容詞アクセントを指導する際、このような傾向を反映して敎育し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 2011年版『新選國語辭典』や2012年版『新明解國語辭典』などにはこれらゆれのある形容詞について新しいアクセントを記載しはじめている. 今後、日本語の正確なアクセントの敎育のためにもNHK編(1998)『日本語發音アクセント辭典』所收のアクセントも一早く現在のアクセントの傾向を考慮して記載すべきであろう.

본 연구는 악센트사전의 새로운 악센트표기의 필요성과 금후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악센트교육에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표준어를 구사하고 있는 동경출신 남녀 26명을 대상으로 평판형 형용사와 기복식 형용사 그리고 동요가 있는 형용사를 대상어로 해서 활용형별 세대별간의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 번째는 40대代 이상의 형용사 악센트 보다 10代에서 30代 대상자의 발음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즉 형용사 악센트는 젊은 세대일 수록 발음의 변화가 많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평판형·기복식 악센트 양쪽 다 3박어 보다 4박 이상의 단어에 변화의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즉 박수가 긴 단어일 수 록 악센트의 변화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3·4박어 이상의 평판형의 종지형에 있어서는 악센트 규칙대로 조사되었던 것은 불과 35.2%뿐으로, -2형으로 변화한 것이 63.2%나 분석되었다. 이에 반해 연체형에 있어서는 19.2%만이 변화가 나타나, 종지형에서의 -2로 변한 비율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네 번째는 -2로 변화한 양상은「~ク활용형」에 있어서도 주목할 만하다. 평판형 28.3%, 기복식 악센트 에서는 56.4%가 -2형으로 변화된 발음으로 조사되었다. 다섯 번째는「~テ활용형」에 있어서는 평판형에서는 그다지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기복식 악센트에서는 악센트핵이 1박이 뒤로 옮겨진 형인 -2형으로 변화된 예가 악센트 규칙인 -3형 보다 상당히 상회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여섯 번째는 악센트사전 기재의 동요가 있는 형용사는 금번 실태조사에서는 평판형으로 발음하는 대상자는 적게 나타났고, 기복식 악센트로 발음하는 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다면, 금후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에게 일본어 형용사악센트를 지도할 때, 이와 같은 경향을 반영해서 교육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011년판『新選國語辭典』과 2012년판『新明解國語辭典』등에는 이와 같은 동요가 있는 형용사에 대해 새로운 악센트형을 기재하고 있다. 금후 일본어의 정확한 악센트교육을 위하여 NHK編 (1998)『日本語發音アクセント辭典』所收의 악센트도 하루빨리 현재의 악센트 경황을 고려해서 기재해야 할 것으로 본다.

1. はじめに
2. 硏究方法と調査對象
3. 調査結果の分析
參考文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