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적 기업 형 카페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Customers` Selection Attributes for Social Enterprises Type Cafe
안혜영 ( Hea Young An ) , 백진경 ( Jin Kyoung Paik ) , 홍완수 ( Wan Soo Hong )
DOI 10.9724/kfcs.2013.29.6.637
UCI I410-ECN-0102-2014-500-001997384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카페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사회적 기업 카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개인적 가치성향과 사회적 가치성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IPA 결과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기업 카페의 발전방안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사회적 기업 카페를 방문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기업 카페를 선택할 때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을 구분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0 이상인 요인이 5개 도출되었으며 이를 ‘촉진·메뉴’, 서비스·내부 환경’,‘입지’,‘맛’,‘브랜드’라 명명하였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값은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 카페의 선택속성 17개 항목에 대한 전체 중요도는 4.01점, 수행도는 3.68점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내부 환경 요인, 입지 요인, 맛 요인, 브랜드 요인에서 중요도의 속성이 수행도의 속성보다 유의적으로(p<0.001)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기업 카페를 방문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업 카페의 선택속성에 따른 IPA 분석 결과 집중 관리영역에 속한 항목으로‘접근용이성’이 도출됨으로써, 중요하게 인식되지만 수행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개선되어야 될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 카페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가치성향은 개인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로 구분하여 가치성향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개인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모두 상·중·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p<0.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가치성향과 사회적 기업 카페 선택속성과의 IPA 분석을 살펴보았다. 개인적 가치성향의 경우, 개인적 가치성향이 낮은 집단은 맛과 질의 우수성 및 전문성 항목이 집중관리영역에 위치한 반면, 중위그룹의 경우 접근용이성 항목이 집중관리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가치성향이 높은 그룹에서는 접근용이성 항목과 교통의 편리성 항목이 집중관리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사회적 가치성향이 중위그룹의 경우 접근용이성 항목이 집중관리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가치성향이 높은 그룹에서는 접근 용이성 항목과 교통의 편리성 항목이 집중관리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사회적 기업 카페를 창업할 때 타겟이 되는 주요 고객층의 개인적 가치성향에 따라 입지에 관련된 요인들을 고려하거나, 입지선정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해 표적시장 선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회적 가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을 주 고객층으로 할 경우에는 가격 보다는 그 밖의 사회적 가치 및 의미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이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여건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상에서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라는 목적 실현도 중요하지만 현 사회적 기업의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국가 의존적인 시스템에서 벗어나 카페들 간의 경쟁 속에서 입지를 다지고 안정적으로 자립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카페가 추구하는 가치 및 사회적 의미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일반 소비자들에게 보다 널리 인식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적 기업 카페 이용자들로 하여금 이용카페를 통해 사회적 목적을 둔 가치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도록 브로슈어 및 안내시스템을 갖추거나 개별 매장별로 홍보하기에 역부족인 부분들은 지역별로 연합하여 사회적 기업 카페 안내지도 및 브로슈어 등을 이용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selection attributes of social enterprises type cafe by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y 309 random consumers in several social enterprises type cafes in Seoul and Gyonggi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s(ver. 17.0)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importance of cafe`s selection attribut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promotion and menu’, ‘service quality and atmosphere’, ‘location’, ‘taste’, and ‘brand name’. The mean scor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afe selection attributes were 4.01 and 3.68 out of 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PA results of 17 selection attributes for social enterprises type cafe, the selection attributes with relatively low performance but high importance(II quadrant) was ‘easy accessibility’. The factor to be improved through the IPA was accessibility factor, showing that the consumers had a low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of cafe`s lo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