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분계점 회귀 모형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을 이용하여 한국의 금리스왑 시장에서 스왑 스프레드가 음(-)이 되는 역전 현상이 장기간 지속된 원인 중 하나가 이를 상쇄할만한 차익거래가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스프레드 역전 현상의 지속 자체가 한국의 채권 및 금리스왑 시장에서의 시장 효율성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차익거래가 거래 비용 또는 기타 제약 요인으로 인하여 실행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외적 요인으로 국내 채권시장의 왜곡 발생이 빈번해지는 환경에서, 정책 당국이 시장 스스로가 왜곡현상을 수정할 기능을 발휘하도록 채권 및 금리스왑 시장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규제 완화를 실시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sistence of negative swap spread in Korea is partly attributed to the lack of arbitrage trading which may counteract the negative swap spread, using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 However, according to the empirical test, the negative swap spread is not the proof that there is no market efficiency in Korean bond and interest rate swap market. Rather, it may be inferred that the transaction cost or some constraints against arbitrage trading set the limit to the arbitrage trading so that it could not be executed fully enough to decrease the negative swap sprea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dvance the market system as well as deregulate the bond market for enhancing the market capabilities to correct the bias from outside sh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