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청소년 비행의 시간에 따른 변화유형을 살펴보고, 각 변화유형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등패널 자료를 사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청소년 비행의 변화유형을 살펴본 결과, 무비행 집단(55.63%), 저수준 지속 집단(27.78%), 감소 집단(5.75%), 일시적 급증 집단(5.87%), 일시적 급감 집단(4.96%)의 5가지 유형의 비행 변화유형으로 비행의 변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무비행 집단과 비행경험 집단 간에는 상황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행경험 집단 내에서는 상황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설명력이 그리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비행친구가 무비행 집단과 비행경험 집단 간의 비행 변화유형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비행경험 집단 내에서의 비행친구의 영향은 시간에 따른 비행변화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investigat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Juvenile Delinquency.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st through the 5th annual datasets of elementary school panel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juvenile delinquency showed five groups: non-delinquent group(55.63%), low level continuOUB group(27.78%), decline group(5.75%), temporary rapid increase group(5.87%), and temporary rapid decline group(4.96%). The Situational factor and personal factor(self-control) affected difference between non-delinquent group and. delinquent groups. But situational and personal factor significantly had not affected difference within delinquent groups. Delinquent friend affected positive effect between non-delinquent group and delinquent groups. But effect of delinquent friend positively had not affected difference within delinquent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