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택사(澤瀉) 량적(量的) 형질(形質)에 대한 다변량(多變量) 분석(分析)
Multivariate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Alisma plantago L
( Byung Sun Kwon ) , ( June Taeg Lim )
UCI I410-ECN-0102-2014-500-00198980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양적형질을 중심으로 다변량 해석법에 의해 택사 품종들간의 유연 관계를 추정하고 이에 기초한 cluster analysis를 실시하여 품정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uclidian distance (D2)에 의하여 공시한 62개 품종을 5개군으로 대별해 볼수 있었는데 제1군이 12품종, 제2군이 21품종, 제3군이 17품종, 제4군이 5품종, 제5군이 7품종으로 군을 형성 하였다. 제1군은 건근중은 높고, 생근중이 낮으며 제2군은 생근중이 높고 제4군은 건근중이 낮은 품종군이었다. 지리적 분포와 유연적 변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품종군내, 품종군간의 D2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형질은 경장과 생근중이었다.

Varietal distances were measured by Euclidian D2 statistics in 1,891 possible com-parisons among sixty two varieties of Alisma plantago with seven characters such as leaf width, leaf length, stem length, number of stems per plant, root diameter, and yield of fresh and dry root. A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Euclidian distance (D2) was attempted. Sixty two cultivars of Alisma plan-tago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ive subgroups. Group 1, 2, 3, 4 and 5 included twelve, twenty one, seventeen, five and seven cultivars, respectively. Most of the varietal group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ir geographical origins. Stem length and root weight among the seven character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ir geographical origins. Stem length and weight among the seven characters were the largest con-tributors to the D2 in both intra-and inter-grou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