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기획주제: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의 쟁점(爭點) 1 :한국한문학 연구의 몇 가지 쟁점
Several Issues in Sino-Korean Literature Studies
鄭載喆 ( Jae Chul Jung )
동방한문학 57권 21-50(30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3678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현재 학계에 제출된 한국한문학 연구에서 논의가 대립되어 있는 세가지 쟁점을 대상으로, 논쟁의 출발점이 되는 원전자료의 내용과 함께 연구자별 핵심 주장과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첫째, 문학론에서의 핵심 쟁점인 ‘天機’의 시론사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혜숙과 이동환은 농암이 「雜識」에서 말한 ‘性情’과 ‘天機’의 의미를 밝혔고, 이승수와 이동환은 삼연이 「日錄」에서 말한 ‘天機’와 ‘天理’의 의미를 밝혔다. 둘째, 연암의 「夜出古北口記」를 해석한 네 편의 논문을 비교하였다. 이동환과 김도련은 ‘사상성’과 ‘예술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 글을 해석하였고, 이승수와 정길수는 ‘작품의 구조와 미감’과 ‘선인의 비평과 개작 과정’을 중심으로 이 글을 해석하였다. 셋째, 연암이 만년에 지은 것으로 알려진 「答任亨五論原道書」를 분석한 세 편의 논문을 비교하였다. 임형택은 이 글의 용어를 중심으로 변증법의 관점에서 연암 사상의 특징을 밝혔고, 박희병은 이 글의 내용을 통해 연암의 사회를 향한 실천적 발언과 인간 내면에 대한 성찰을 밝혔으며, 신향림은 이 글의 분석을 통해 연암의 만년사상이 양명학에 경도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위와 같이 한국한문학의 연구 성과에서 발견되는 논쟁의 중심에는 문학과 관련된 철학(사상) 문제가 깊이 자리하고 있다. 먼저 조선후기 문학론의 핵심으로 자리하고 있는 ‘천기론’에서의 ‘천기’의 개념은 인심도심설, 인물성동이론 등 조선후기사상사의 핵심 내용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농암이 「잡지」에서 말한 ‘천기’는문학론의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고, 삼연이 「일록」에서 말한 ‘천기’는 인심도심설, 인물성동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또한 문학론에서 말하는 ‘성정론’에서의 ‘성정’의 문학적 함의 또한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성정’의 철학적 함의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 그리고 「야출고북구기」를 해석한 네 편의 논문이 각기상이한 결과를 도출한 이면에는 해당 작품에 투영된 연암의 사상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답임형오논원도서」에 나타난 연암의 사상적 기반이 무엇인가에 따라 연암 작품에 나타난 인식론과 미의식에 대한 해석이 크게 달라질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한문학 연구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원전자료의 原義 파악 이 중요하다는 학문의 기본 원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thesis revealed the core asser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s on the three controversial issues in Sino-korean literary researches which had recently been presented. First, I studied about the poetic implication of ‘The secrets of nature’, a key issue in the literary theory. Kim Hye-sook and Lee Dong-whan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temper性情`` and ``The secrets of nature`` which Nongam had said in 「Jabji雜識」, Lee Sung-soo and Lee Dong-whan defined the meaning of ‘The secrets of nature’ and ‘The law of nature天理’ which Samyeon had said in 「Ilrok日錄」. Second, I compared four theses which had analyzed 「Yachoolgobookgoogi夜出古北口記」 written by Yeonam. Lee Dong-whan and Kim Do-ryun analyzed this essay focused on ``the aspect of thought`` and ``the artistic quality``, Lee Sung-soo and Jung Kil-soo analyzed the essay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aesthetic senses`` of it and ``the criticism by predecessors and the adaptation process``. Third, I compared three theses which had analyzed 「Dablimhyungoronyuendosu答任亨五論原道書」 known as Yeonam`s later essay. Lim Hyung-taek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Yeunam`s ideas, mainly about the terms in the essay, with the point of view of dialectics. Park Hee-byung explained Yeonam`s practical utterances for the society and reflections for person`s inner life. Shin Hyang-lim proved that Yeonam`s ideas had been affected by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 Like the above, in the core of the critical issues on the results of the Sino-Korean literary researches, there`s philosophy problems related with literature. First of all, the notion of ‘The secrets of nature’ in ‘The discussion of the secrets of nature天機論’, which h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literary theory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related with the core contents of the history of ideas in the period, such as ``Yinsimdosimsul人心道 心說`` and ``Yinmoolsungdongyiron人物性同異論``. ‘The secrets of nature’ which Nongam had said in 「Jabji」was used as the core notion in the literary theory, and ``The secrets of nature`` Samyeon had said in 「日錄」 was used as the core concept in ``Yinsimdosimsul`` and ``Yinmoolsungdongyiron``. In addition to it, the implication of ‘The temper’ in ‘The discussion of the temper性情論’ in literary theory was not unrelated with the implication of ``The temper’, the core concept of The Neo -Confucianism性理學. Also, in the background that the four theses which had analyzed 「Yachoolgobookgoogi」 reached the different conclusions, there`s the difference of the analysis for Yeonam`s ideas in it. Finally, the analysis about the epistemology and aesthetic senses for Yeon`s work could be altered according to what his ideological base was. This study will be able to find the meaning at the point of confirming the fundamental learning principle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Sino-Korean literary research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