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설계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실제 관측된 가속도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등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최근 배경잡음, S파 및 Coda파 등에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 특성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후쿠오카 지진으로부터관측된 지반진동의 Coda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였고 결과를 일련의 후쿠오카 지진의 S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후쿠오카 본진을 포함하여 규모 3.9 이상의 모두 15개 중규모의 후속 지진으로부터 국내 관측소에 관측된 각각 267개 지반진동 자료의 Coda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여 국내 8개 주요 지진관측소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 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할 경우 주요 국내 지진관측소지반의 동적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Since design response spectrum does not reflect local soil characteristics, site specific response spectrum of observed ground motions appears relatively higher than design response spectrum at high frequency range. Thes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from the domestic seismic design industry. Among various estima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method H/V ratio of ground motion for estimating site amplification. This method has been extended to background noise, Coda waves and S waves recently for estimating site amplification. This study applied this method to the background noise and Coda wave energy. This study analysed more than 267 background noises from 15 macro earthquakes including main Fukuoka earthquake (2005/03/20, M=6.5) and then compared to results from S waves, at 8 main domestic seismic s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domestic seismic stations gave similar results to those from S waves. Each station showed its own characteristics of site amplification property in low, high and specific resonance frequency ranges. Comparison of this study to other studies using different method can give us much information about dynamic amplification of domestic sites characteristics and site class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