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환경』과 교육과정에서 교육 목표와 사회 요구를 고려한 역량 설정의 필요성 연구
Study on Needs to establish Competence that considered Educational Object and Social Demand in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서은정 ( Eun Jung Seo )
UCI I410-ECN-0102-2014-300-001628640

현대 환경 문제 및 자원 불균형 문제를 감당하고, 앞으로 지속가능발전을 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으로 환경교육에 역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환경』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의 설정에 필요한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추진하는 대표적인 나라인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퀘백주의 교육과정 개혁 동향에서 나타난 핵심역량 설정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들 국가들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시행하는데 기존 교육의 반성, 교육 목표 및 사회적 요구의 고찰 등을 주요한 요소로 두고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과 교육과정의 역량 설정을 위해 기존 환경교육의 반성, 환경교육 목표와 환경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 째, 『환경』과 교육과정 목표는 처음 신설된 제6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시행되는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환경문제 해결, 삶의 질 향상 등이 강조되었고,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지속가능발전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환경』과 교육과정에서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았지만 기능으로써 강조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 째, 『환경』과 교육과정목표 진술은 여전히 국제 단체의 인식, 지식, 태도, 기능, 참여를 그대로 따르고 있었는데, 이것을 통합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써 『환경』과 교육과정에 역량 개념이 제안될 수 있었다. 넷 째,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지속가능발전을 구현하는 시민양성으로, 환경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은 환경가치와 생태적 원리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삶을 지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discourse on competenc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lementations of competence in schools by reviewing recently reformed curriculum of New Zealand, Australia, and Quebec in Canada. In order to obtain this purpose,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competence in the New Zealand, Australia, and Quebec in Canada curriculum. Through the reviewing them, I found that they focused on the reflection about existing curriculum, the educational object and the social demand. In aspect of three significant features, I reviewed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to seek some implications on compet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s in environmental curriculum were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good quality of life from 6th curriculum to 2009th revised curriculum. And from 2007th revised curriculum the objects focused on the ESD. Second, the competence haven`t manifested in environmental curriculum but suggested as skills. Third, current curricul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ed objectives such as knowledge, attitude, skill, participation proposed by various international association without criticism. We could suggest the competence to integrate sub-objectives. Forth, The social demand toward environmental curriculum was to develop the competence based on ESD that would be for environmental value and ecosyst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